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 무엇이 가치를 결정하는가
마이클 샌델 지음, 안기순 옮김, 김선욱 감수 / 와이즈베리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끝도 없이 보이는 줄, 그 줄을 기다려서 입장하기 까지는 2~3시간이 걸린다. 여수 엑스포 현장이 그렇다. 예약을 하고 오기도 하지만 현장에서 들어가려면 그렇게 기다려야 한다. 그럼 그런 식으로 몇 개의 전시관을 둘러 볼 수 있겠는가. 웃돈이라도 주고 빨리 들어가서 볼 수 있다면?

 

마이클 샌델이 이번에는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이라는 책을 내놓았다. 사실 이 분이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현상들이 신기하지만 그 전부터 한국의 학자들간에는 교류를 해 왔다.

 

이번 책에서는 우리가 지켜야 할 것들이 무엇인가를 묻는다. 무엇이든지 돈으로 사고 팔 수 있다면 인간가치는 어떻게 존중받을 수 있는 것일까? 자신의 신체일부를 광고판으로까지 팔겠다고 하는 사람도 있고, 자신의 정자나 난자를 팔기도 하며, 대리모로까지 나선다. 시장논리에 의해서만 살아가서는 안된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무거운 대가를 더 치르게 될 것이다.

 

이 책은 시장을 옹호하는 입장과 경제학적 관점, 윤리와 도덕적 측면에서 우리 인간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다양한 형태들을 조명하고 독자들에게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회에 우리 스스로가 인정해버리고 넘어가는 일들이 생겨나고 있다.

 

“줄서기를 비롯해 재화를 분배하는 기타 비시장적 방식이 시장논리로 대체되는 경향은 현대 생활에 깊이 스며들어 있기 때문에 우리는 더 이상 그러한 현상을 제대로 알아차리지 못한다.”

 

돈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려고 하고, 돈이면 안되는게 없다고 믿는 세상이다. 심부름을 시키고나서 혹은 시험을 잘보고 나서 용돈을 주거나 올려주는 것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이것은 옳은 일인가. 또한 뇌물은 어떤가. 최근 우리 사회에는 이 뇌물로 인하여 자리를 지키지 못하고 옷을 벗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왜 여기에서 그렇게 무너질 수 밖에 없는가.

 

“뇌물은 잘못된 이유로 올바른 일을 하도록 우리를 꼬드긴다. 때로는 우리가 속아 넘어가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물론 혼자의 힘으로 담배를 끊거나 체중을 감량하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결국 뇌물에 조종당하는 상황은 극복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뇌물을 받는 것이 습관으로 굳어질지도 모른다.”

 

‘돈이면 다 된다’는 생각이 우리를 망칠 수 있음을 깨닫는다. 거기에는 인간에 대한 신뢰가 깔려있지 않다. 다행히도 인간의 심성에는 기본적으로 깔려있는 인간 본성이 있다.

 

지금 이 시점에서 우리가 고민해야 할 것들을 묻는다. 왜 그 고민이 필요한 건가.

 

“그러다보면 불가피하게 좋은 삶에 상층되는 개념에 관해 깊이 생각히 마련이다. 이는 우리가 가끔은 발을 들여놓기를 두려워하는 영역이다. 우리는 반대에 부딪힐까봐 두려워서 자신의 도덕적, 정신적 확신을 공공의 장에 내보이기를 주저한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에 맞서지 않고 뒷걸음질 친다고 해서 문제가 미해결 상태로 머물러 있지는 않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시장이 우리 대신 결정을 내리도록 허용하게 되는 셈이다. 이것이 바로 지난 30년 동안 우리가 얻은 교훈이다. 시장 지상주의 시대는 공공 담론에 도덕적, 정신적 실체가 상당히 부족했던 시대와 일치한다. 시장을 제자리에 놓을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은, 우리가 소중하게 생각하는 사회 관행과 재화의 의미에 관해 솔직하게 공개적으로 숙고하는 것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