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근이다 - 감독으로 말할 수 없었던 못다한 인생 이야기
김성근 지음 / 다산라이프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점을 보고 그것을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 한 가지의 장점을 갖고 그것을 잘 할 수 있도록 끌어내는 일이 쉬운 일인가. 못하는 부분만 눈에 들어오면 그걸 야단치고 비난하고 뒤로 물러나게 만드는 일은 참 쉽다. 눈에 보이고 누구든 인정을 하는 일이니 말이다. 그러나 그런가운데서도 좋은 부분을 발견하고 그것을 꺼내 줄 수 있는 일을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부모의 입장에서도 그렇다.

 

선수단을 이끄는 감독은 어떨까. 새로운 곳에서 야구 인생을 시작할 즈음에 그의 책이 나왔다. 바로 이 책이다. 어떤 사람일까. 웃는 얼굴 보다는 늘 심각하게 그라운드를 바라보던 모습이 생각난다. 이 책을 읽어보니 그럴 이유가 있었던 것 같다. 감독의 얼굴 표정에서 선수들의 분위기를 망칠 수 있고, 더 다른 길로 가게 만들 수 있게 때문이리라. 이 책 속에서도 그렇게 표현한다.

 

“어떤 경우에도 리더는 포커페이스를 유지해야 한다. 감독의 불안이 선수들에게 전해지면 이미 진 것이다.“

 

사사로운 정에 얽매이지 않기 위해 혼자서 밥을 먹고 혼자 있어야 할 시간을 더 가진 감독이다. 팀웍을 만들고 선수단을 이끄는 것은 감독의 재량일 것이다. 김성근 감독은 고독과 외로움을 선택했다.

 

그리고 선수들은 그의 선택을 따랐다. 그렇게 해서 선수들은 우승을 맛볼 수 있었던 것이다.

 

이 책에서는 김성근 감독이 선수들을 지도하며 부딪히는 여러 순간들을 풀어낸 이야기이다. 그의 리더십을 엿볼 수 있는 책이며 지난 시간들에 대한 기록이다. 개인적으로 아쉬웠던 순간들의 기억보다는 어떻게 하면 선수들이 좀 더 잘 뛸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더 컸다.

 

“나는 늘 최악의 상황을 그린다. 그게 습관이 됐다. 가난하게 살았던 어린 시절부터 스스로 결단을 내리고 그것에 책임을 져야 했다. 프로 야구 감독이 되면서도 늘 결과로 말하고 책임을 져야 하니까 어떻게든 결과를 내기 위해서 악착같이 해오지 않았나 싶다. “

 

이기기 위한 것이 아니라 지지 않기 위해 오늘도 그는 뛴다. 전심전력을 다하는 것 밖에는 없는 것이다. 선수들간의 규칙과 약속, 그리고 예의를 챙기며 선수들이 잘 할 수 있도록 감독으로서의 역할을 다한 그의 다른 출발이 또 어떻게 펼쳐질지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