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훈련소 - 간단하고 쉽게 글 잘 쓰는 전략
임정섭 지음 / 경향미디어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블로그를 시작한 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났다. 어디까지 어떤 글을 써야 할지 고민도 되지만 어떠한 것든 써놓고 보면 속이 시원하다. 누구를 고려한다면 글이 되지를 않는다. 거짓이고 포장이 될 때는 글이 편치 않다. 그러나 그것이 나에게 위한을 준다. 그런데 이러한 글이 있는가 하면 상대를, 읽는 사람을 편하게 하고 더 감싸줄 수 있는 글도 써야 한다. 성장을 해야하기 때문이다. 누구나 쓸 수 있지만 아무나 작가가 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그 경계에서 선 글쓰기를 좀 더 끌어 올려놓고 싶은 생각이다. 여전히 바닥을 기는 글이기는 하지만 말이다.

 

글쓰기 훈련소는 그런 시간들에 놓여 있는 자신을 더욱 끌어 당겨주는 채찍이며 당근같은 것이다. 더 재촉하고 더 끌어주고, 지금의 상태가 그리 또 나쁘지 않음을 일깨워주며 앞으로 나가게 하니 말이다. 서평을 쓰는 방법에서는 공감하는 부분이 참 많았다. 결국 좋은 책인지 나쁜 책인지 구분하게 하는 일, 좀 더 강할 필요가 있는데 두리뭉술하게 넘어간다면 이게 읽으라는 것인지 말라는 것인지 모르니 말이다.

 

글쓰기는 결국 사람을 움직이는 일이다. 그렇다면 재미있는 글이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핵심이 들어있어야 한다. 글감이 중요하다.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일상의 삶 속에서 시작하는 일이 필요하다. 대부분 여기서 이게 글이 될까 하지만 그것을 제대로 펼쳐 놓는 것이 기술이다. 스토리텔링에 대한 중요성이 최근 많이 부각되고 있다. 그 만큼 이야기를 풀어내는 기술을 보고 있다는 점을 반증하는 것이다. 전체적인 구조를 짜는 일과 더불어 세부적으로 그 안에서 글을 이어가는 방법 등이 잘 정리되어 있다.

 

중복되는 표현, 불필요한 언어 등 글쓰기에 나타나는 불필요한 습관들을 점검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이 책은 언론인에서 전문강사로 변신한 저자가 그간의 강의와 경험을 녹여낸 글쓰기 가이드북이다. 처음 글쓰기를 하는 분들이나 어느 정도 더 글을 잘 써보 싶은 분, 특히 책을 읽고 난 후 독후감 혹은 서평을 제대로 쓰고 싶은 분들이 읽어보면 자신의 상태를 체크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많이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확하게 쓰는 일도 필요함을 생각하게 만드는 책이다. 글의 중심이 되는 포인트를 찾아내는 일이 제일 중요한 일이며, 그것이 풀리면 그 다음은 거기에 맞게 펼쳐놓으면 되는데, 이 포인트 라이팅을 못하는데서 발길이 걸리고 마는 것이 처음 글쓰기에서 마주치는 일들이다. 이 걸림돌을 제거하는 방법이 들어 있다.

 

책의 전반부에서는 포인트 라이팅의 방법을 소개하고 후반부에서는 서평의 실례를 통해서 어떻게 제대로 된 서평을 쓸 수 있는지 다른 이들의 글을 통해 비교해볼 수 있게 해준다. 윌리엄 케인이 쓴 ‘작가처럼 써라’에서는 다른 이들의 글쓰기 방법을 모방함으로 해서 자신의 글을 완성하는 일을 권하고 있는데, 이것을 보면 다른 이들의 글을 많이 읽고 많이 쓰는 것은 큰 힘이 됨을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