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란 문학과지성 시인선 373
이병률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는 사람의 마음을 차분하게 해준다. 적어도 나에게는 그렇다. 빽빽한 글씨가 아니라 여유있고 숨이 있는 공간이 그러하다. 책이 작기에 그만큼 공간이 없는 것이 아니라 행간에서 호흡을 갖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때로는 앞으로 더 나가기도 하고, 때로는 뒤로 물러나 다시 그 말을 되씹어본다.  

내가 사는 공간에 대해서 난 잘 파악을 하지 못한다. 정작 내 자신 파악도 힘든데, 어찌 내 공간에 대한 파악이 쉽겠는가. 시는 그러한 공간, 삶의 주변과 공간에 대해서 파악알 수 있도록 애쓰게 해준다. 내가 바라보지 못한 것들, 내가 접하지 못했던 것에 눈 돌려 마음 헤아려보게 해준다.  

‘찬란’은 삶을 돌아보게 하는 시이다. 시가 삶을 사람을 떠나서 이야기할 수 없지만 특이 이 시는 그러한 느낌이 더 많이 든다. 고단하고 힘든 삶이 느껴진다. 곤궁한 삶, 가난이 느껴진다. 그래서 난 더 가슴이 아프다. 아름답다게 느껴지지 않는다. 춥고 배고프고 아픈 시다. 별들에게서 조차 그렇다.  

우수한 아까움들을 쏟아내는 저 별들의/
적막한 이야기들 

또 다른 시 안에서 마음을 또하나 건져본다.  

딱하다 안타깝다 마오/ 
한 식경쯤 눈을 뜨고 봐야 삶은 난해하고 그저 진할 뿐/   
그저 나는 나대로 살 터 당신은 당신대로 살기를/ 

날 초입에 받은 작은 나무 하나 화분에 옮겨 싦었더니 빨간 꽃잎들이 얼굴을 내밀고 봄을 같이 맞았다. 가지만 나 있어 무엇이 나올까 했다. 궁금하던터에 그 나무가 그 답을 하나 하나씩 던져주고 제 몸을 피운다.  

시도 그러한 글자들이 하나 하나 모여 읽을 때 마다 알지 못했던 새로운 것들을 느끼게 해준다. 이병률 시인의 시가 그러하다. 이쪽도 저쪽도 아닌 경계의 세상에서 오늘도 그 발을 딛고 사는 사람들의 아픈 이야기로 다가온다. 사용되는 단어들이 하나 하나가 그렇다.  

‘엉거주춤 세워둔 차 한 대’, ‘눈 내리는 천장 없는 방에’, ‘이 목을 찔린 사람처럼’, ‘방향을 얼버무리는 것’ 등 하나 하나의 문장에서 삶의 고단함과 곤란함이 일어난다.   

그러나, 이것은 다시 우리에게 삶의 가치를 더 깊게 알도록 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