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뫼비우스 그림 / 열린책들 / 200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을 읽은 것은 이번이 사실 처음이다. 그러기에 그 앞의 많은 베스트셀러에 대한 이야기는 제목만 들었을 뿐이다. 그의 많은 책 가운데 이 책 한 권을 읽고 글을 쓰는 것이 편견이 아닐까 하지만, 그래도 이 책은 객관적이든 주관적이든 우리가 정말 관심갖고 생각해야 할 주제인 인간, 사람에 대해서 한 발, 두 발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다른 이’의 시각으로 볼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는 점이 특이했다.
일상에서 접하고 있는 사물의 시각, 인간이 아닌 다른 생명체의 시각을 통해서 우리 인간은 어떤 존재이며, 또한 어떤 존재로 비추어 지고 있는지, 풍부한 상상을 통해 보여준다. ‘그들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자’나 ‘어린 신들의 학교’가 그렇다. ‘투명피부’ 편에서는 진실의 의미와 인간의 진실에 대한 태도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나는 살가죽을 한두 꺼풀 벗기고 보면 우리 인간의 모습이 진정 어떠한지를 그들에게 일깨워 준 셈이다. 내 모습은 하나의 진실이지만, 아무도 그것을 정면으로 바라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이 책 ‘수의 신비’편에서 나오는 마지막 문장은 인상으로 남는다.
“그는 화살을 맞고 쓰러지면서 마지막으로 이런 생각을 했다. [인간의 정신을 고양시키기 위한 싸움에서는 천장을 높이는 것 만이 능사가 아니다. 바닥이 무너져 내리지 않게 하는 것도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
시간의 변화, 유행에 따라 달라지는 우리들의 모습, 진정한 우리의 모습을 찾아보기를 권하는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상상이 즐겁게 다가 온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