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사피엔스 - 전혀 다른 세상의 인류
최재붕 지음 / 쌤앤파커스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로운 인류가 등장하고 있다. 포노 사피엔스 이후 이제 우리는 AI 사피엔스 시대를 맞이했다. 생성형 AI는 어디까지 발전할 것인지 예측이 쉽지 않다. 사람과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는 단계에서 그 이상까지 가는 것도 생각해 볼 수는 있다. 그 후에는 어떨까. 포노 사피엔스 인류가 표준이 된 지금, 또 다른 인류 출현을 앞두고 있는 이때, 지금 어떤 변화들이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지 알아챌 필요가 있다. 


많은 플랫폼 기업들이 세계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이들의 최종적인 목표는 어디일까. 이들의 행동과 목표에 따라서 우리의 방향도 달라져야 한다. 디지털 전환에 맞춰 가야, 내가 하는 일을 정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픈 AI가 최근에 GPT 옴니를 선보였다. 아마 이 버전 보다 더 향상된 버전은 이미 개발 중에 있을 것이다. 대중에게 공개하기 전 새로운 버전 출시에 앞서서 얼마나 테스트를 해보겠는가. 


스마트폰 전쟁 이후 새로운 전쟁은 생성형 AI에서 벌어지고 있는 상황. 이 구도가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를 전체적으로 조망해 볼 수 있는 책이 바로 최재봉의 <AI 사피엔스>이다. 저자는 우리에게 지금 필요한 것은 자발적인 디지털 전환이라고 말한다. 이렇게 급속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무엇을 준비하고 있는지를 묻는다.


새로운 무대에서 우리 젊은 세대들이 많이 뛰길 기대한다. AI 관련 분야의 실력자들이 앞으로 5년이면 밀려들 것이라고 예측한다. 단 창조적인 아이디어는 필수. 그리고 우리나라가 이 같은 분야에 어떤 투자를 얼마나 하고 있는지,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한다. 팬덤 경제를 키우기에 상당히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고, IT 기술도 남부럽지 않지만, 메타 인더스트리로의 전환을 위한 국가적 투자가 부족하다고 언급한다.


우리나라에도 기회가 올 수 있을까. 도전한다면 기회는 있다.

성균관대 부총장으로 재직 중이기도 한 저자는 학자로서 인재 양성을 곳곳에서 강조한다. 남의 일로만 보지 말고 내 일로 생각하고, 나의 일로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내내 강조하는 저자의 이야기를 더 들어보자.


"맞습니다. 이제 세상의 주인공은 누가 뭐래도 디지털 세대입니다. MZ 세대에 기성세대에 맞춰야 한다는 것은 젊은 세대에게 나이 든 세대가 맞춰야 한다는 막연한 생각이 아닙니다. 새로운 표준 문명이 된 디지털 세계관에 이제는 모든 사람이 맞춰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그걸 다른 말로 'MZ 세대와 소통해야 한다'고 표현하는 겁니다. 아니, 소통을 넘어 디지털 세계관이 내 마음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어야 합니다. 그래야 기성세대도 미래 기대치를 올릴 수 있습니다."-158쪽


이 책은 모두 6개 파트로 구성됐다. 다양한 플레이어들이 뛰고 있는 가운데 파트별로 우리나라는 어떤 대응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 속에서 이용자로서 개발자로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준비해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를 묻는다. 무엇보다 저자는 인재 양성의 시급성을 강조한다. 1파트를 살펴보면 우선 어떤 싸움이 일어나고 있는지 느껴볼 수 있을 것이다. 


2파트에서는 더 확대에서 시장을 조망한다. 주요 국가의 플랫폼을 창업한 창업주의 마인드, 그들이 일구어낸 서비스의 탄생과 성장과정을 폭넓게 들여다볼 수 있게 해준다. 새로운 서비스들이 어떻게 일어나고 사라졌는지 생각해 볼 수 있다. 시장 개척이 쉽지 않지만, 한 번 개척하면 이익은 상상할 수 없는 것이다.


3,4, 5파트에서는 우리가 할 수 있는 것들이 무엇인지를 좀 더 생각해 볼 있도록 한다. 다양한 기업들이 뛰고 있는 가운데 어디에서 기호를 찾을 수 있는지를 이야기한다. 무신사나 '원소주'의 사례를 소개하면서,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기업이 살아남을 수 있다는 점을 다시금 느끼는 이야기들을 전한다. 


마지막 6파트에서는 우리가 갖고 있는 콘텐츠가 무엇이며, 오징어 게임의 성공 비결 등, 그것들이 어떤 경쟁력을 갖추었는지를 살펴본다. 그냥 인기가 있었지,라는 것들을 좀 더 다른 시각에서 접근해 봄으로 해서 어떤 콘텐츠가 팬덤을 만들 수 있는지를 알려준다. 그리고 이제는 남들이 하는 것들이 아닌 남들이 하지 않는 것들을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제는 선진국이 안 해본 것도 해봐야 합니다. 충분한 성공의 근거를 체크해 봤다면 시도 자체가 경험의 축적입니다. 그동안 익숙했던 '선진국 카피'관성에서 과감하게 탈피해야 합니다. 잘 몰라도, 실패할 수 있어도, 도전해야 합니다. 이제 그런 도전만이 생존을 결정하고 새로운 미래를 열어줄 유일한 길이니까요."-403쪽


전혀 다른 세상의 인류 <AI 사피엔스>는 470여 쪽이 넘는 분량의 긴 책이지만, 시장 전반의 흐름, 국내 기업들의 상황을 알아볼 수 있다. 다만 한 가지 말하고 싶은 것은, 내 생각에는 메타버스에 대한 인기는 이전보다 좀 수그러들었다고 생각했는데 저자의 견해는 조금 다르다. 투자를 보라고 한다. 300조 원이 넘는 돈이 이 분야에 투자가 되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투자는 물론 기술의 발전이 일어나고 있다고 언급했다. 


새로운 서비스들이 생성형 AI 분야에서만큼 경쟁적으로 쏟아지고 있는 곳이 또 있을까 싶다. 이 책은 AI의 시장 구도에 대해서 알고 싶은 분들에게, 어떤 싸움이 벌어지고 있는지 궁금한 분들, 어떤 분야에 관심을 두고 일을 해야 할지 염려하는 분들에게 읽기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