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왜 위험한 것에 끌리는가
리처드 스티븐스 지음, 김정혜 옮김 / 한빛비즈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가보지 못한 길에 미련이 크다. 해보지 못한 일에 아쉬움이 크다. 남들이 한 일을 내가 못한다는 것에 불만이 있다. 특히 다 하는 건데 나만 못하는 것이라면 더 하다. SNS는 그러한 일상에 자극을 가한다. 남들이 해본 것은 해봐야 하는 욕망이 끊임없이 마음을 헤집고 다닌다. '좋아요'를 얻기 위해 부지런히 SNS도 해봤지만, 수많은 팔로워를 거느린 사람을 따라갈 수 없다.
그냥 살련다. 그냥 하던대로 내 방식대로 할련다. 그게 편하다. 편한 생활, 그러나 뭔가 불안하다. 이 불안은 또 어떻게 없앨까. 그러기 위해 다시 또 과감해지고 용감해지려고 한다. 선한 방향으로 이게 쓰인다면 더 없는 인생의 발전을 가져올 것이다. 그러나 그게 반대로 발휘된다면 어떻겠는가. 인생이 흥할까.
<우리는 왜 위험한 것에 끌리는가>는 제목이 눈길을 확 끈다. 위험한 것, 그래 위험한 게 뭐야. 역시 위험하다. 왜 그런 일에 사람들은 끌리는걸까.
오늘도 뉴스를 채우는 폭력적이고 비상식적인 일들은 어떻게 일어난 걸까. 우쭐함을 주체하지 못해서 일어난 일인가, 아니면 순간 이성적 판단력을 잃어버린걸까.
몸과 마음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풀기위한 다양한 삶의 방식, 이 책은 8가지의 챕터에서 위험한 일 속으로 자신을 몰아넣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나쁜 것이라고 하지 말라고 귀에 따갑게 들은 일들이다. 성, 술, 욕, 폭주를 비롯 힘든 일상을 날리는 사람들의 생활을 들여다보도록 한다.
우리는, 나는 어떤 것에 끌리는가. 어떤 일을 못 견디게 해보고 싶은 걸까.
욕을 제대로 해보고 싶다. 그냥 우물우물하는 게 아니라. 꼭 필요한 때 필요한 자리에서 필요한 사람에게. 시도때도 없이 날리는 욕이 아니라. 뭔가 그럴 때 속에 있는 덩어리 같은 것이 몸속에서 빠져나올 것만 같다.
저자는 과학적 근거와 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이야기를 흥미롭게 이끌언간다. 욕설에 관한 심리학적 혜택을 연구하고 자동차 경주를 즐긴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 책은 저자의 이야기인가. 저자의 자전적인 이야기일까.
정말 그런 실험이 있을까 싶은 이야기들이 눈길을 끈다. 사람들이 다 있는데서 공개적인 실험에 참가하는 사람들은 누구일까 더 궁금하다.
하지 말라는 것, 하면 안되는 것들은 해봐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들, 그 사람들의 심리를 움직이는 뇌는 어떤 뇌인가를 짚어본다. 흥미롭고 재미있다.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실험이지만 데이터가 빈약하거나 하나의 사례로 남는다.
다양한 실례들을 통해 인간 심리를 살펴볼 수 있는 흥미로운 책이다.
"따라서 욕의 숨은 혜택 또 하나는 사람들 사이의 유대감을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욕을 하는 행위가 무례하다고 느끼게 하거나 서로를 멀어지게 만들기는커녕, 사람들 사이의 공통된 규범이라 느낄 뿐더러 소속감의 표시라 여길 수 있다. 당신 자신도 어떤 사회적 상황에서는 욕을 한 마디도 하지 않는 반면, 걸쭉하게 욕을 하는 사회적 상황도 있다는 것을 알지 않는가? 어쩌면 당신은 미처 깨닫지 못했을지 몰라도, 후자의 상황에서 당신이 하는 행위는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하기 위해 '산업노동자 언어', 즉 욕설을 사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137쪽, <우리는 왜 위험한 것에 끌리는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