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입시설계, 초등부터 시작하라 - 서울대 입학사정관이 알려주는 입시 맞춤형 공부법
진동섭 지음 / 포르체 / 202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긴 공부의 끝은 결국 어디일까? 인생 행복을 위한 공부인가, 아니면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한 것일까. 인생의 초반을 온통 입시를 위해 온 나라가 매달린다. 왜 그렇게 매달리는 걸까.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데 기본적인 소양과 지식을 갖추면 되지 않을까.
고민은 그렇지만 현실은 다르다. 들어가야 할 곳은 적고 들어가고자 하는 수요는 많다. 공급이 많지 않으니 수요자가 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다. 좋은 대학은 밥 먹여주는 시대는 끝났다고는 하지만 아직 이 살아 있는 말을 무너트리지는 못하고 벽은 높다.
현실 속 우리의 공부 방법을 살펴봐야 할 일이다. 후회가 남지 않도록 하는 일은 결국 준비하는 것만한 답이 없다. 준비도 없이 꿈만 크면 실망도 적지 않다. 남들 들어간다고 모두 다 들어갈 수 있는 게 아니니까.
좋은 지침, 살아 있는 경험은 실전에 임하는 학생들에게 더없이 필요하다. 조력자인 부모에게도 마찬가지다. 입학 사정관으로 활약한 바 있는 저자 진동섭은 공교육을 통한 입시 설계를 어떻게 짜야 할지 고민하는 부모들에게 가이드를 준다. 주어진 시간을 어떻게 쓰는가에 따라서 그 결과는 천지다. 목표가 있다면 좀 더 구체적으로 시간을 짜고 공부 계획을 세워 볼 일이다. 독서에서부터 입학에 필요한 서류 준비하는 일까지 조목조목 들여다본다. 실전 경험이라 집중도 잘 된다.
사실 지금 다시 대입을 준비하라고 하면, 자신 없다. 일단 너무 복잡하다. 공부가 전부가 아니라고 하면 무슨 소리냐고 하겠지만 사실 그보다 중요한 게 얼마나 많은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양하는 공부 체계적으로 목적을 갖고 준비한다면 원하는 목표에 더 가깝게 가리라 본다.
공부습관 들이는 방법은 올바른지 따져보자. 새롭게 바뀐 학교 입시제도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고 있는가. 정보가 곧 힘이다. 자유학년제를 통해 진로를 제대로 탐색하고자 한다면 어떤 계획을 갖고 접근해야 할까. 읽어야 할 책은 읽어야 한다. 다양한 독서가 필요하다. 시간이 있을 때 제대로 읽자. 눈에 띄는 대목은 21년 이후 28년까지의 입시 로드맵이다. 교육부 정책에 어떤 변화가 올지 모르지만 나름 그 기간에 속한 자녀가 있는 경우라면 눈여겨볼 대목이다. 어떤 유형으로 갈 것인지 계획이 서면 준비가 좀 더 수월해질 수 있다. 가고자 하는 대학의 인재상이 어떤가에 따라서 준비해야 할 것이 다르다. 부모의 생각보다는 자녀가 좀 더 원하는 방향에서 찾아볼 일이다.
입학 사정관의 학생 평가 방식에 대한 소개가 상세해서 대입을 앞둔 학부모님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본다. 도표나 예시가 있어 지금 처한 상황과 어떤 공통점이 있고 차이점이 있는가를 한눈에 볼 수 있다.
"공부를 하려면 내가 왜 공부하는지를 계속 물어야 한다. 사람은 무엇이 되기 위해 공부하기도 하지만, 공부 그 자체에 뿌듯함을 느껴서 공부하기도 한다. 무엇이 되기 위해서 공부를 한다면 그것을 위해 필요한 지식을 얻으려고 노력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공부해야 할 것이 생긴다. 그러나 무엇이 되기 위한 공부는 목적을 달성한 다음에는 멈추게 된다. 반면 스스로 뿌듯한 마음에 공부를 한다면 공부 그 자체를 즐기는 사람이 될 것이다. 평생 학습 사회에서는 스스로에게 보상을 하면서 '공부하는 사람'이 발전 가능성이 큰 사람이다. 그러나 이 경지에 도달하지 못하더라도 왜 공부를 하는지를 물으면서 자신이 공부해야 할 이유를 찾고 그 방향을 잡는 것은 성장에 도움이 된다."-211쪽
갇힌 삶보다는 좀 더 넓은 삶을 살고 싶다. 대학은 잠시지만 인생은 길다. 긴장과 압박이 때로 도움이 되지만 그러한 삶으로 너무 인생을 몰고 가지는 말자. 부모와 자녀는 파트너다. 인생을 살아가는 동반자다. 종속의 개념에서 벗어난다면 좀 더 선택의 폭이 달라질 것이다. 부모의 프레임으로 자녀를 몰아넣는 것은 불편한 일이다.
<입시 설계, 초등부터 시작하라>는 면접을 보고 나서 왜 떨어졌을까, 궁금할 때가 있다. 그런 궁금증을 풀 수 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