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안드레아스 헤르만.발터 브레너.루퍼트 슈타들러 지음, 장용원 옮김 / 한빛비즈 / 2019년 8월
평점 :
절판


말로만 듣던 자율주행을 <자율주행>에서 만나봤다. 지금 우리가 어디에 와 있는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책이다. 자율주행의 기술과 정책의 현재를 짚어 볼 수 있는 책이다. 자동차의 시작과 끝을 이야기한 이 책은 모두 10파트로 이뤄졌다. 우니라라도 K-시티 시험장에서 자율주행 시험을 하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서 이뤄지고 있는 자율행시험에 관한 이야기를 읽다보면 일반도로에서 시민들이 자율주행차를 갖고 운전하는 날이 언제쯤 일까 짐작해볼 수 있다. 


스마트폰이 우리 일상을 지배하는 날이 왔듯 자율주행차가 그런 시대적 상황을 만들 것으로 기대한다. 그렇게 되는 세상에서는 주차장 문제로 골치를 섞힐 일도 없을 것 같다. 함께 이용하는 공용차라든가, 대중 서비스용 차가 더 많아지면 교통체증의 문제도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전에는 엘리베이터 안에 사람이 직접 버튼을 눌러줘야 했었다. 기술적인 문제도 있고 서비스 측면도 있었다. 지금은 버튼 하나로 작동을 다 할 수 있다. 자율주행차의 미래도 그렇게 다가오고 있다.


이 책의 저자들은 아우디의 자율주행차와 그들이 추진하고 있는 계획들을 바탕으로 자동차의 과거를 찾아보고 미래를 상상한다. 구글의 자율주행 시험운전은 어떻게 되가고 있는지도 전체적으로 짚어본다. 자율주행 시대가 되면 운전자는 그럼 무엇을 하게 될까. 교통사고는 줄어들까, 더 많아질까. 궁금한 사안이 아닐 수 없다. 도로의 운전형태가 미래의 삶을 새롭게 디자인하게 될 것이다.


"2025년경이 되면 자동차는 여러 주행 조건이 섞인 경우에도 혼자 힘으로 가속, 감속, 방향 조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도 운전자는 긴급 상황이나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면 통제권을 넘겨받을 수 있도록 운전석에 앉아 있어야 할 것이다."-125쪽



자동차는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의 기술이 집약된 물체이다. 사람과 기계가 어떻게 통신을 하고 기계가 사물을 어떻게 인지하며 장애물을 피해갈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오늘도 계속되고 있다. 자율주행 시험 중 사고가 보고 되고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는 상황, 실제 도로에서 시험을 하고 있지만 완전한 실험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안전에 대한 보장이 없다. 이 부분을 어떻게 해결하고 보완해 갈 것인가. 수동과 자동으로 선택 운전을 할 때 이 상호 교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면 문제가 크다. 자동차 주인이 차량을 운전하지 못하고 누군가 타인이 자동차를 해킹한다면 어떤 상황이 또 일어날까. 문제점에 대한 해결이 이뤄지고 나면 새로운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얼마나 정밀하게 이 문제를 해결할까. 


자율주행차와 연관한 사람과 기술 등 전반적인 문제들을 짚어본다. 자율주행과 관련한 현재의 흐름과 발전방향을 통해 우리 삶의 미래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을지 알아보고 있는데 생각보다 어렵지 않아 즐겁게 읽어볼 수 있다. 자율주행차는 특정국가의 일이아니라 전세계적인 과제며 기술이다. 그렇게 되어야 어떤 상황에서도 자율주행차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보안과 안전의 문제는 기술문제 만큼 중요하다. 스스로 움직이는 차 안에서 스마트폰을 봐도 아무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 사회는 언제쯤 우리 앞에 도착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