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제학자의 다이어트 - 과잉공급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경제 이야기
크리스토퍼 페인 외 지음, 이윤진 옮김 / 한빛비즈 / 2019년 3월
평점 :
절판
"칼로리를 하나의 정보로 의식하는 일은 우리가 행동을 더 나은 방향으로 바꾸는 의사 결정을 쉽고 빠르게 통합시킨다."-134쪽
독특한 책이다. 두 경제학자의 다이어트 이야기는 이야기인데 내용은 우리 실물경제와 두 사람의 몸무게를 줄이는 이야기가 서로 교차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책은 뭔가 다른 구석이 있다. 소설이나 영화를 보면 이런 구조들을 심심찮게 보지만 경제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서 자신들의 몸무게 이야기를 엮어서 하는 구조는 어떤가.
두 명의 저자는 실물경제에 적요되는 경제원칙이 몸무게를 줄이는 데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몸소 보여준다. 크리스토퍼 페인과 롬 바넷은 몸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직접 체험하고 그를 바탕으로 독자들의 참여를 권유하니 설득력이 있다. 자신들이 뚱뚱해지게 된 이유를 시작으로 몸의 균형을 찾을 수 있게 된 배경까지 차분하게 설명한다. 그렇게 자신들이 뜻을 이루었으니 못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한다.
체중 감량은 좀 더 하고 싶은 일들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한다. 뚱뚱한 것이 나쁜 것이 아니지만 어떤 불편함이 있고 자유로움이 있는가를 설명하며 몸무게 줄이기에 참여를 이끈다. 스트레스와 업무 과중은 더 많은 소비욕구를 불러오고 그를 통해서 우리 몸은 이전과 다르게 살이 찐다. 이러한 배경을 다양한 도표와 자료를 바탕으로 증명한다. 새로운 자극을 요구하게 몸을 만들어놓으니 계속 먹을 수밖에 없는 구조를 스스로 만들어버렸다. 이를 끊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덜먹고 덜 소비하는 것이다. 배고픔을 줄이고 몸무게를 매일 재면서 현실을 직시하길 요청한다. 덜먹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제대로 한 끼를 먹으면 그러한 문제를 덜 수 있다.
"이 책에서 전달하는 가장 엄중한 메시지는 처음 살을 뺄 때처럼 체중을 유지할 때도 작은 습관들을 엄격하게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안타깝게도 다이어트는 끝이 없고, 많은 다이어터가 실패한 원인도 바로 이 점을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_239쪽




최소한의 조건을 지키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으며 매일의 습관으로 정해놓은 것들을 어기지 않으려는 마음을 놓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거리에서 집안에서 사무실에서 우리의 식욕을 자극하는 것으로부터 나를 방어하는 일이 무엇인지 함께 살펴보며 좀 더 편안한 라이프 스타일을 누려볼 일이다.
삼시 세끼가 중요한 게 아니라 한 끼라도 제대로 먹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