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의자 - 승자가 지워버린 이름
김문주 지음 / 마음서재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름밤. 어둠이 검은 기운을 세우고 밀려왔다. 구름이 달을 가리자 별빛에 날이 섰다. 벌레들의 울음소리가 애를 태웠다. 그것은 한 계절을 살고 갈 운명들의 몸부림이었다."


부여에 대해서 내가 알고 있는 게  어디까지인가? 인문학을 노래하고 많은 강연들이 곳곳에서 이뤄지고 있지만 정작 우리는 우리 역사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는가. 


저자는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는 승자의 기록으로 보고 우리가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가 의문을 제기했다. 그 의문의 시작으로 쓴 것이 부여의자. 마지막 순간까지도 나라의 백성을 생각하며 쓰러진 의자왕을 그렸다. 배신과 모함이 도는 공간에서도 나라의 운명을 책임진 의자왕은 흔들리지 않았다.


현실적으로 알려진 부여 의자왕의 이야기와 소설 속 의자왕의 이야기를 비교해봐도 좋겠다. 소설로 봐야 할 부분과 의문을 가져 봐야 할 지점은 또 어떤지도. 다만 심각하지 않게.


1995년 한 신문사의 신춘문예 단편소설 당선으로 직업적인 소설가의 길을 걷는 저자가 선보인 부여의자를 통해 우리가 지금 살아가는 시대의 이야기는 후대에 또 어떻게 기록될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소시민으로서 현 정부의 업적은 어떻게 평가받게 되는지도 말이다. 


1400년 전의 백제를 떠올리며 글을 이어 의자왕 이야기를 끝낸 저자의 열정 덕분에 우리는 그냥 묻고 갈 역사의 흔적을 다시 들춰 꺼내볼 수 있게 된 듯하다. 


실제 개백이 남긴 말인가 싶지만 소설 속 계백의 말이 남는다. 가고 싶지 않은 길이지만 가야 할 길이 있다는 것이다. 옳고 그름에 목숨을 거는 게 어리석지만 목숨을 내놓는 일에 주저하지 말아야 할  때가 있다고 한다. 백제의 미래를 위해서...


"옳고 그름을 따져 목숨을 내놓는 일에 주저하지 말라. 세상의 올바른 이치에 목숨을 내놓는 일에 주저하지 말라. 가고 싶지 않을 때도 있는 길이지만, 지금은 백제의 미래를 위해 마땅히 가야 할 길이다."


부여의자는 더운 여름날 밤, 백제의 역사를 다시 한 번 돌아 돌 수 있는 기회를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