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버리기 연습 - 한국어판 100만 부 돌파 기념 특별판 생각 버리기 연습 1
코이케 류노스케 지음, 유윤한 옮김 / 21세기북스 / 2018년 3월
평점 :
품절


인간의 끊임없는 욕망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코이케 류노스케의 <생각 버리기 연습>은 우리에게 결국 이 질문에 스스로 답하게 만든다. 그의 글을 통해 인간의 불안은 욕망을 자극하고, 자극은 소비를 통해 불안을 일시적으로 채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는 것이 우리 삶의 평균적인 모습이다. 각자의 삶의 방향이 있고 목적이 있다. 그러한 삶의 다양성을 우리는 개성이라고 말을 한다. 


우리는 여기서 이러한 개성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있는가 하는 것을 생각해봐야 한다. 사람이 사람으로서 살아가며 지켜야 할 태도가 있다. 이러한 삶의 질을 결정하는 태도를 우리는 어떻게 갖고 있는가? 인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인성은 말하는 것, 듣는 것, 보는 것 등 우리 신체적 활동을 통해서 밖으로 표현되는 사람에 대한 평가라고도 할 수 있다. 


우리는 우리와 지내는 사람들의 말을 어떻게 듣고 있고,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


시기와 미움으로 상대를 바라보고 살고 있지 않은가? 없어도 있는 척 괴사하며 살려고 하지 않는가? 불안과 번민은 어디에서 오는가? 결국 내 마음의 시끄러움이 현실의 삶을 어지럽히고 복잡하게 만드는 것이다. 생각을 버린다는 것은 결국 해야 할 일에 집중하는 것이다. 


<생가 버리기 연습>은 복잡하고 어지러운 사회를 살아가는 지혜를 던져준다. 현실의 삶에서 질서와 정리는 결국 내 마음의 상태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내 마음의 번뇌를 끊어내지 않으면 내 현실의 삶도 그러할 수밖에 없다. 마음의 평정심을 이루기 위해서는 마음의 고요를 불러와야 한다. 코이케 류노스케는 그것은 명상으로부터 시작된다고 말한다. 78년생의 스님이자 작가로 활동 중인 저자는 이러한 책을 쓰고 강연을 통해서 사람들의 스트레스를 치유하고 마음의 길을 찾는 데 도움을 주는 강연을 하고 있다. 


"우리는 욕망에 쫓겨 불필요한 것을 쌓아두는 경향이 있다. 두 번 다시 일지 않을 책을 서가에 늘 꽂아두고, 필요 없이 보이는 것도 거의 버리지 않는다. 버리기는커녕 필요 없이 보이는 것들이 점점 쌓여만 간다. 이런 잃어버리고 싶지 않다는 충동이 항상 마음에 부담을 준다."-170쪽 중


이 책은 3부로 구성되었으며 1부는 마음에 대해서 전반적인 이야기를 다루고 2부에서는 마음과 생각에 대한 이야기를 폭넓게 살펴본다. 마지막 3부는 대담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2010년에 나온 이 책은 이번에 개정된 내용으로 만들어졌다. 이 책은 그래서 기술의 차이와 삶의 편리성이 그때와 지금은 또 어떠한지 생각해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편하지 않은 우리의 모습은 또 무엇인지 생각해볼 여지를 준다. 많은 내용들 가운데 인터넷 시대의 쓰기와 읽기에 대한 부분은 많은 부분 공감이 된다. 사실 이렇게 서평을 쓰고 블로그에 글을 올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한 번 더 생각해보게 되었다, 진정 나를 위한 일인지 말이다.


"모든 사람의 내면에는 상대를 이기고 싶다, 인정받고 싶다는 충동이 잠재되어 있다. 그래서 지칠 대로 지친 상대를 발견하면, 상대의 이야기는 대충 듣는 시늉만 하고 생각의 잡음에 휘둘려 자기 의견을 마구 쏟아내게 된다. 문제는 이런 일이 무의식적이고 반사적으로 일어난다는 것이다."-207쪽 중


인터넷 시대, 나의 삶에 대해 스스로 불만족하다고 느끼는 분이다, 사람을 대하는 태도와 내 마음을 다루는 것에 대해서 불안을 느끼거나 어려움을 느끼는 분이 계시다면 읽어보길 권한다. 나는 괜찮은 사람이다,라고 생각하는 것이 위험하다고들 한다. 괜찮은 부모, 괜찮은 사장이라고 보지만 상대고 그렇게 보는지는 의문이다. 상대가 나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봐야 한다. 


우리 사회의 갑질 문화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왜 이런 일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 갑을 관계 혹은 상하관계에 있어서 자신의 부족함을 가리기 위한 나쁜 행동일 뿐이다. 리더의 잘못된 말과 행동이 어떻게 직원들의 마음에 상처를 주고 있는지 리더만 모르고 직원들은 다 알고 있다. 


나를 내세우기 위해 상대를 깎아내리는 말과 행동, 마음의 탐욕, 끊임없는 영상과 음성의 자극으로부터 우리의 마음을 좀 더 쉴 수 있는 곳으로 이끌어야 한다. 그래야 나도 살고 상대도 살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