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모 ㅣ 비룡소 걸작선 13
미하엘 엔데 지음, 한미희 옮김 / 비룡소 / 199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워낙 유명한 책이기에 읽어보고 싶었던 차였다. 처음에는 기대했던 것만큼의 재미가 없었다. 그래서 첫날, 이 책을 보다가 잤다. 대부분의 소설이 그렇듯이, 배경 설명하는 부분은 지루한 감이 좀 있었다. 이 부분을 어느 정도 넘기고 나면 그때는 책에 쏙 빠져들게 되는데, 첫날에는 그 감을 못 잡고 골아떨어졌었다.
다시 책을 잡았고, 끝까지 낼름 읽었다. 나에게 주어진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가.. 가 핵심이었다. 이 책은 재미를 주면서도 동시에, 생각을 하게 했다. 내가 정말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 나는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가.. 모모와 호라 박사?는 시간을 나누어주는 자였다. 모모의 경우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계속 들어주고, 그 사람이 방향을 찾게 했다. 일종의 상담자였던 셈이다.
시간 도둑의 침입과 동시에 사람들은 시간을 아끼려는 노력을 계속 한다. 그러나, 시간은 아끼면 아낄수록 더 모자라게 된다. 사실이 그렇다. 내가 시간에 매여 살았던 지난 날들은 지금보다 더 풍요롭지 못했다(심적인 면에서를 의미한다.). 지금은 시간보다, 일보다, 관계를 더 중시하기 때문에 시간에서 어느 정도 자유로울 수 있게 되었다(이것은 일대일의 효과도 부인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내가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시간을 어떻게 쓰는지 일일이 적어본 적이 있었는데, 내가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던 것이다.). 내가 시간을 다른 사람을 위해 쓰면 쓸수록, 그것은 더욱 값진 것이 되는 것 같다. 위대한 사람들..은 대부분 그랬다. 테레사 수녀, 슈바이처 기타 등등.. 나를 위해 시간을 쓰는 것이 더 많은 행복을 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아니라는 거다. 바쁠수록 돌아가라는 말이 있고, [너무 바빠서 기도합니다] 라는 책도 있다. 바쁘게 살면, 정말 중요한 것을 놓치게 되는 것 같다.
그리고, 신뢰라는 것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었다. 모모는 호라 박사를 만나러 갈 때 카시오페이아라는 거북을 만나 동행하게 되는데, 이때 모모는 그 거북을 깊이 신뢰했다. 아, 정말 신뢰한다면 저렇게 해야 하는 거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고, 내가 하나님을 신뢰하는 것은 신뢰의 축에 끼지 못하는 것 같아 부끄러웠다.
요즘, 기도하는 것도 말씀 보는 것도 게을리하고 있다. 바쁘다는 핑계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은 정말 '핑계'에 지나지 않음을 깨달았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위해서 치뤄야 할 대가는 당연한 것이다. 내가 하나님과의 관계를 더욱 깊이 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시간을 함께 해야 한다는 것을 잊고 있었다. [모모]를 통해 당신을 깨닫게 하신 하나님께 감사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