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처럼 문지 스펙트럼
다니엘 페낙 지음, 이정임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처럼](다니엘 페나크/이정임 옮김, 문학과지성사)
-믿고 보는 권일한선생님 픽

이 책은, 어떻게 하면 자녀에게 책을 읽힐 수 있을까, 끙끙 고민하는 부모에게, 책 읽는 시간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추천하는 책이다. 은연중에 ‘TV 때문에 책을 못 읽히겠어.‘라고 생각했는데, ‘텔레비전 탓인가?‘(40쪽)라는 질문에 다시 생각하게 됐다. 언제부터인가 ‘요즘 자라는 아이들은 영상에 익숙해서...‘라는 생각이 머릿속을 지배했다. 내가 책 읽는 건 재미있지만, 재미있게 가르치는 건 못하겠다 싶은 마음에 손놓고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변명할 여지가 없다. 텔레비전이 보상이라는 지위로 격상함에 따라, 당연히 독서가 억지로 해야 할 고역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게 된 것은...... 다름 아닌 바로 우리에게서 나온...... 우리 자신의 발상이었다는 사실을......(63쪽)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나 TV가 보상의 지위인 건 똑같은가 보다. 우리 아기는 유튜브 보는 것을 좋아하는데, 자꾸 TV(유튜브)만 보려고 해서, 궁여지책으로 책 한 권은 꼭 읽어야 TV(유튜브)를 보여주겠다고 해서 꼬박꼬박 읽던 참이었다. 아무래도 내가 피곤하면 못 놀아주니까, TV는 필요악이다. 책 한 권 읽어주고 TV 보여준 다음 피곤해서 골아떨어진 적도 있었고, 한참 아기와 놀아주고나서 아기가 지겨울 만하면 책 읽어주고 TV를 보여준 적도 있었다. 신랑이 퇴근한 후에 아이랑 놀아주는데, 내가 독서모임을 하기라도 하면 피곤한 신랑은 TV를 틀어주고 옆에서 잠을 자기도 한다. ‘TV를 없앨까?‘ 싶은 생각이 많이 들면서도 없애지 못하고 있다. 되새긴다. ‘텔레비전 탓인가?‘(40쪽)
‘어떻게든 자기만의 시간을 가지려고 들기보다는, 기꺼이 아이에게 저녁 시간을 내어줘야 한다.‘(67쪽) 대부분의 모임이 온라인으로 대체되었다. 자기 시간이 소중한 나는, 저녁 시간에 이런 저런 모임을 신청한다. 독서모임도 하고, 글쓰기 연수도 하고, 코칭도 조금 배우고. 아기에게 시간을 내주지 않는 엄마인 거 같아, 괜히 미안해진다.
내가 어릴 때 아빠는, 성경동화 테이프를 틀어주시곤 했다. 내용은 정확하게 기억나지 않지만, 다윗이나 다니엘 이야기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어릴 때부터 이야기를 들어서인지, 이야기를 지어내는 건 힘들어 하지만, 이야기를 듣거나 보는 건 언제나 재미있다. 사실 아기가 TV를 통해 보는 것도, 이야기에 지나지 않는다. 다만, 생각할 틈 없이 휙휙 지나가는 이야기이다 보니, 재미는 느껴도 감동을 느끼기는 어렵다. 내가 문학을 재미의 여부로만 판단하는 이유는, 이야기의 반 이상을 TV로 접했기 때문은 아닐까?
어쨌든, 이야기는 언제나 재미있다. 집에 쌓아놓은 책들이 많아서, 전공 서적 위주로만 책을 구입하려고 노력했던 때도 있었다. 소설과 동화는 재미를 위한 책이라서 소장 가치가 떨어진다고 생각했던 것도 사실이다.-그래서 도서관에서 빌려 읽었다. 2003년쯤 동생이 빌려온 해리포터 시리즈 1권부터 3권은 동생보다 내가 먼저 다 읽고, 2016년에 해리포터 시리즈 4권부터 7권을 몽땅 다 읽었다. 이야기에 푹 빠져 살았다. 다음날 출근을 앞두고 읽는 이야기책들은 얼마나 꿀맛인지! ‘아, 밤이면 밤마다 이불을 뒤집어쓴 채 손전등을 비춰가며 몰래 책을 읽곤 했던 기억들이여!‘(15쪽) 다음날 출근을 감수하고 읽은 이야기라면 ‘조금만 더 읽어야지.‘ 해놓고 밤새 읽었던 [백파선]도 있고, 2주 동안 평균 새벽 3시까지 읽었던 [나니아 연대기]도 있다.-[나니아 연대기]는 다시 읽고 싶어도 분량이 많아서 마음 잡고 읽어야 한다. 이틀만에 다 읽은 [수요일의 전쟁]과 [밉스 가족의 특별한 비밀]도 빼놓을 수 없다. ‘이제까지 우리 인격을 형성해온 책읽기란 대개 순응하고 따르는 책읽기라기보다는, 무언가에 반하고 맞서는 책읽기였다.‘(103쪽) 무언가를 해야 할 때 (무언가에 반하고 맞서는) 책읽기에 빠지는 것은 그래서 꿀맛인지도 모른다. ‘소설은 ‘소설처럼‘ 읽어야 한다는 사실을, 다시 말해 소설 읽기란 무엇보다 이야기를 원하는 우리의 갈구를 채우는 일이라는 것을 몰랐던 것이다.‘(151쪽) 소설을 읽는 것은, ‘무언가에 반하고 맞서는‘ 일일 뿐만 아니라, ‘이야기를 원하는 우리의 갈구를 채우는 일‘이다. 소설이 재밌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하지만, 소설을 읽는 것을 단순히 ‘재미‘로만 여긴다면, 소설 읽는 데에 시간을 할애하는 것을 ‘낭비‘라고 여길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한때 내가 그렇게 생각하기도 했는데, 지금은 생각이 바뀌었다. 소설은, 점점 메말라가는 정서에 뿌려지는 한 줄기 물줄기이다.
그렇기에, 소설이든, 뭐든, 책이라면 읽는 게 좋다. 책 읽는 시간이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글쓴이는 이렇게 말한다.
책 읽는 시간은 언제나 훔친 시간이다.(16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