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집, 현실의 집 - 희망주택 · 저렴주택, 집에 대한 욕망의 사회사
서윤영 지음 / 서해문집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윤영은 내개 건축교양서의 재미를 처음 가르쳐 준 고마운 저자이다. <건축, 권력과 욕망을 말하다>를 시작으로 그녀의 책을 오래도록 쫓아다녔다. 그리고 내게는 첫 저작 이상의 저작을 선뜻 내보이지 못하는-대개 그렇다-저자 가운데 한 명이 되었다. 근래는 청소년을 위한 교양서도 저술하는데 뛰어남에도 전작의 기시감이 크다. 전업 작가의 별 수 없는 고충이겠거니 한다.

  그럼에도 편안하고 탄탄한 문체의 큰 흡입력은 변함없어 나 같이 둔감한 사람도 다중, 다가구, 다세대, 연립, 도시형 생활주택을 구별할 수 있게끔 하였다. 내게는 나름 큰 지적성과다. 각 꼭지를 시작하며 꺼내드는 우리 문학의 단면들을 보면 역시 책을 꽤나 들춰보는 저자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연구서가 아닌 대중서에서 저렴주택을 이만한 비중으로 다뤄주는 경우는 드물다. 역시 저자의 시각이 돋보이는 대목이고 여전히 따라 읽어야 할 저자임을 확인시켜준 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쇼몽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61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지음, 김영식 옮김 / 문예출판사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십수년 전, 역사학입문 시간에 본 영화 라쇼몽으로부터 거꾸로 찾아 읽어낸 류노스케의 단편집 라쇼몽. 그 때 읽었던 판본에서는 산적 때 이야기가 마음에 닿아 오래도록 기억하였는데, 다시 읽은 문예출판사 판본에는 수록되지 않았다. 재차 읽고 싶었는데 아쉽다.

  그럼에도 인간 심리의 침잠된 어떤 것들을 참으로 잘 헤집어 놓는 류노스케를 다시 만난 즐거운 독서였다. 재난 속에 아내를 죽인 남자 <의혹>, 얄궂게도 살아남아버린 시어머니 <흙 한 덩어리>가 좋았다. 특히 <남경의 그리스도>가 좋았다. 담배를 태우며 창녀에게 중국요리를 내어주는 예수는 고맙고 따스했다.

  올해 그의 이름을 딴 안경테도 하나 가졌다. 그리고 올해부터 나는 류노스케보다 오래 살기 시작한다. 그러나 그 뿐이니 도리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면이 없었더라면 - 온 국민의 소울푸드 라면에 대한 여덟가지 이야기
정이현 외 지음 / 로도스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소한의 식사, 라면. 우리는 대개 라면을 끓이며 성장하였고, 라면에 대한 자기만의 기억을 갖고 있다. 이 책은 라면을 주제로 각계 저자들의 글을 모아 읽기 재미나다. 깊이 남는 문장들도 많다. "오후 3시, 점심 때를 놓치고 혼자 먹는 라면은 기가 막히게 맛있다"(정이현)라던지. 어느 저자의 글인지 정확한 문장을 옮길 수는 없지만,

 

 "(라면은 가장 쉬운 음식이지만) 우리는 아무하고나 라면을 나누어 먹지 않는다"

"(생애 처음 홀로 라면을 끓여먹고는) 더 이상 어머니가 무섭게 느껴지지 않았다"

 

 책을 읽으며 나의 오랜 기억도 되찾았다. 한참 어릴 때 어머니 없이 배고팠던 날, 찬장에서 라면 스프를 찾았다. 여느 집처럼 우리 어머니도 쉬이 라면을 끓여주시지 않았고, 끓여주시더라도 스프를 절반만 넣으셨기에 어떻게 남은 스프 봉지였다. 나는 그 스프를 찬물에 타면 차가운 라면국물이 될 줄 알았다. 물컵에 부어 마셔보았고 당연히 실망했는데, 재차 기억이 나는 걸 보면 꽤나 배고프고 서운했던 모양이다. 이제 그 설움은 실컷 달랠 정도로 라면을 끓이고 있으니 다행이라 해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활의 디자인
오창섭 외 지음 / 현실문화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대의 척도가 되는 물건들이 있다. 공통의 추억이 깃든 물건은 이미 영물이다. 삼십대 이상이 읽으면 더 푸근할 이 책은 시대별 정취를 담았다. 공병우 타자기, 주홍빛 공중전화, 모나미153볼펜, 칠성사이다, 오리표씽크 등에 관한 이야기를 토막토막 들려준다.

 나는 그 가운데 삼익쌀통이 가장 정겨웠다. 쌀통은 분명 냉장고와는 다른 면이 있다. 가구당 식구가 주는 추세에도 갈수록 거대해지며 백색가전의 왕으로 위풍당당한 냉장고와 달리, 쌀통은 쓰는 집조차 찾기 어렵다. 쌀통은 무언가 수줍고 순박하다. 한 번 누르면 공손히 1인분 150g을 내려놓는 것이 전부인 쌀통, 그 정도의 기술력. 70년대의 쌀통과 지금의 쌀통이 크게 달라 보이지 않는다.

 여러 사람이 나눠 쓴 책이라 글이 난삽하고 호흡이 짧아 읽는 맛이 없긴 하다. 그럼에도 문고본 크기로 휴대하기 쉽고, 여러 물건들을 담아내고 있으니 기분전환하기 좋은 책이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약은 없다 - 응급의학과 의사가 쓴 죽음과 삶, 그 경계의 기록
남궁인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응급한 죽음을 일상으로 마주하는 직업. 그래서 "자살자가 쏟아지는 밤이 있다"는 문장을 태연하게 쓸 수 있다니. 나이가 많지 않아도 성찰하는 바가 만만치 않겠다 싶었다. 백 페이지를 훌쩍 넘겨도 줄기차게 으스러지고 뭉개진 죽음들뿐이라 피로감이 적지 않았는데(그것이 현실일지라도), 처음 살아난 중국인의 이야기를 만나며 한숨 돌릴 수 있었다. 문장도 가장 좋았다. "대부분 하층민인 그들은 다쳐도 더 심하게 다쳤고, 아파도 이해할 수 없이 아팠다"

 자신의 두터운 머리털에 분투하는 미용사가 거꾸로 건넨 "수고하셨습니다"에 면구스러움을 느끼는 의사. 그래서 자신 또한 환자를 꼬매며 "수고하셨습니다"라고 말할 줄 아는 의사를 만나 참 기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