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니문 인 파리
조조 모예스 지음, 이정임 옮김 / 살림 / 2015년 8월
평점 :
절판


 

 파리는 멋과 낭만,예술의 상징이다.파리지앤의 솔직,직선적,쾌활함도 동시에 떠오르게 하는 곳이다.사람 사는 곳은 어디든 똑같겠지만 사랑과 낭만만큼은 파리가 제격인 것이냥 착각하게 만드는 마력이 있다.사랑에 깊이 빠져 있을 때에는 무아지경에 이른다.보고 있어도 보고 싶으며 영원히 함께 하고 싶은 마음이 사랑에 빠지는 시기이다.사랑도 어느 순간에는 마술의 힘이 풀려 지루하고 지겨운 시간으로 바뀌기도 한다.그래서 사랑하는 사람과의 관계를 오래 지속하기 위해서는 서로를 위한 나름의 계명(戒命)이 있어 지키고 나누며 아끼는 마음을 잃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물론 사랑에 대한 정답은 없겠지만 상대에 대한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큰 법이기에 상대방의 능력과 잠재력,기질,성격을 기본으로 하면서 그에 걸맞게 대응하고 맞춰 나가는 것이 오히려 사랑을 오래 지속하는 길은 아닐까.

 

 우리 부부는 동창 소개로 만나 75일만에 결혼에 골인했다.모두 나이가 차서 이것 저것 잴 겨를이 없었다.'이 정도면 맞춰 나가면서 부족한 부분을 매꿔 나가면 되겠지'라고 생각하고 결혼했다.그런데 결혼은 내 자신을 위해 하는 것인데,나이가 들면서 주위의 따가운 시선과 무언의 압력에 의해 결혼을 서두른 것은 후일 후회가 되기도 한다.개인의 일대 중대사인데 뭐가 바쁘다고 그렇게 쫓기다시피하여 혼인을 치뤘는가 생각할 때가 종종 있다.지금은 세월의 나이테가 두터워질 만큼 두터워졌는데도 익숙하지 않은 갈등거리들이 생기곤 한다.나는 마음에 들지 않으면 대부분 표정과 무언으로 대응한다.시시콜콜 따지고 대꾸하기가 생리에 맞지 않다.인간이기에 시간이 흐르면 저절로 갈등과 불타협점을 용해시키기도 하고 에둘러 말하면서 지난 일을 잊기도 한다.문제는 사랑을 받으려고만 하는 아내의 마음이다.

 

 사랑은 내리 사랑은 말이 있듯 부모에게 받은 정은 크지 않다.아련히 떠오르는 사랑은 조부모님에게 받은 사랑이었다.자애와 인내,관대함이 철철 묻어난다.장사 때문에 외지에 살았던 부모님과는 한이불 속에 몸을 비비며 사랑을 받아본 적이 거의 없다.부모님 모두 옛날 분이어서 그런지 "사랑해,너를 믿는다" 등 사랑과 용기,격려성 표현은 거의 들어보지를 못했다.자고 일어나면 일터로 떠나고,돈을 벌기 위해 5일장을 떠돌아 다니셨을 부모님의 젊은 시절을 내가 탓할 사안은 아니지만 사랑도 받은 만큼 줄 수가 있다는 것을 결혼하고 나서 몸과 마음으로 깊게 느낀다.융숭하고 온기가 넘치는 사랑 표현을 잘 해주지 못해 가끔씩 내게 툴툴거리나 싶어 한 번씩 안아 주기도 하지만 이내 성이 차지 않은가 보다.게다가 몇 년 사이 금전문제,사회생활의 나락,인간관계의 결핍,건강 악화 등으로 삶이 주춤거리게 되었다.그래도 살아있는 것을 다행으로 생각하면서 식지 않은 희망의 씨를 뿌려 나가려 한다.적극적이고 열심히 사는 것만이 젊은 시절 뜨겁게 불살랐던 로맨스 이상으로 삶에 가치를 안겨 주리라 기대한다.

 

 『미 비포 유』의 작가로 알려진 조조 모예스는 이번에는 신혼 남녀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지금 시대의 로맨스와 1세기 전의 로맨스를 교차식으로 그려가고 있다.공통점은 파리에서 허니문을 맞고 있는 점인데,두 커플 모두 뭔가 삐거덕거리는 소리가 난다.결혼하자고 언약하던 때엔 서로가 마음에 들었기에 혼인을 했건만 신랑되는 사람에 의해 신부가 겪는 심리적 갈등과 고통을 스케치하고 있다.파리라고 하여 사랑이 달콤한 것은 아닐진대 두 청춘 남녀들이 파리에서 웨딩드레스를 입고 멋진 포즈를 취하기도 하고,파리의 유수지를 소개하는 등 독자들에게 마음의 힐링을 안겨 준다.연애하던 시절은 핑크빛으로 물들어 있지만 결혼은 어디까지나 현실이다.그런데 신혼임에도 불구하고 남편되는 건축가 데이비드와 물질적으로 가난한 예술가 남편 에두아르는 신부인 아내에게 마음껏 사랑을 쏟지를 않는다.신부의 마음을 충분히 절절히 이해한다! 신부는 신랑을 눈이 빠지도록 기다릴 것이다.짧은 연애를 거쳐 로맨틱한 허니문을 맞이하려던 데이비드 아내 리브와 가난한 예술가 아내 소피는 신랑에게 몸과 마음으로 사랑을 받지를 못해,사랑을 주지 않은 것을 두고 내내 갈등을 일으킨다.두 여인 모두 심리적 갈등을 겪지만 커다란 풍파는 일으키지 않는다.다만 잔잔한 가슴 내면에 피먹이 들었을 것이다.

 

 두 신혼 커플이 파리에서 겪는 허니문 시간은 미완성의 삶의 시간대가 아닐까.뜨겁고 로맨틱한 사랑을 원하는 것은 남.녀 상열지사에서 비롯된 극히 자연스러운 일임에도 불구하고 두 신랑들은 일을 우선시 하면서 아내에게 줄 사랑은 뒷전에 놓고 있는 것 같다.그래도 두 커플은 파경없이 현실과 상대를 조금씩 이해하면서 사랑의 폭을 넓혀 갈 것이다.2002년과 1912년의 파리의 허니문에 대한 두 커플의 에피소드를 들려 주면서 연애와 결혼의 차이,사랑에 대한 남.녀간의 언어,행동방식을 비교해 보았다.그리고 내 신혼 생활을 돌이켜보면서 나름 알콩달콩했던 시절도 상기해 보았다. '있을때 잘해'라는 유행가와 같이 사랑은 헤어지고 여의면서 후회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사랑은 위로와 감성이 넘치는 말도 좋고 스킨십,농밀한 육체관계 모두 좋다.허니문은 마음 먹기에 따라 언제든 가능하다는 생각을 새삼 갖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