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세상을 바꾸는 통찰의 순간들
윌리엄 B. 어빈 지음, 전대호 옮김 / 까치 / 2015년 6월
평점 :
절판


 

 알고자 했던 것을 알게 되고,무의식 가운데 무릎을 '탁' 칠 정도로 신선한 충격을 줄 때가 있다.이것은 지적 호기심에 대한 답이 될 수도 있고 도덕과 윤리와 같이 이성과 논리의 잣대로 적용하기 힘든 경우도 있다.나아가 창의력을 요구하는 분야는 육체 노동 이상보다 더 장고(長考)의 시간을 요구하기도 한다.남들보다 한 발 앞서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 창의적 결과를 내놓는 것은 개인의 힘과 명예에 국한하는 것이 아닌 세상과 사회에 커다란 영향력 내지 반향을 불러 일으키기에 새로운 장(場)을 열어 나가는 행위는 선구자,예지적,계시적으로 다가온다.

 

 예리한 관찰력으로 사물을 꿰뚫어 보는 것을 통찰이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

 

 통찰이라는 문제는 무심결에 자주 사용하곤 했다.또한 이 문제에 대해 깊이 연구하여 새로운 사실을 도출하고 검증했던 적은 없다.그런데 세상이 복잡다단해지면서 이성과 논리적인 합리성을 요구하기에 사소한 것일지라도 일의 선.후 관계가 일관되고 투명해야 한다.해당 분야가 무엇이든 누군가 어떠한 문제를 도출하고 통찰했던 흔적에 덧씌우려다 들통이 나서 힘과 명예를 상실하는 사람들도 많다.통찰의 순간을 잘 보여 주는 사람이 아르키메데스인데 그는 히에로가 부과한 질문을 숙고하던 가운데 목욕탕에 들어가 탕 속에 미끄러져 가면서 탕 속 물의 수면의 상승 관계를 알아 내고 환희에 들뜬 나머지 알몸으로 달리면서 "유레카(Eureka)!"를 외쳤다고 한다.질문을 부여받고 즉석에서 확답을 하지 못했지만 질문에 대한 답을 알아내려는 의식과 의지가 작동하면서 질문에 대한 답이 완전하고 확실하게 도출된 것이다.비단 이러한 문제는 질문에 대한 단순한 답을 떠나 연관 분야에까지 고루 적용 가능하여 새로운 사실 발견,발명 등은 인류 문명에 큰 업적과 영향을 끼치게 마련이다.

 

 현대 사회에도 통찰의 기쁨과 환희를 만끽한 위인들이 많을텐데 인류 문명사에 통찰력으로 명성을 날리고 있는 인물은 참으로 많다.종교,도덕,과학,수학,예술 등 분야는 다르지만 통찰이라는 새로운 이론과 사실,발견과 발명을 통해 분명 인류의 삶을 몇 단계씩이나 상승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깊다.아인슈타인,말러,아르키메데스,루앵카레 등이 대표적인 통찰의 순간을 보여 준 케이스다.일반인이든 유명인이든 통찰의 순간은 누구든 맛보았던 적이 있을 것이다.통찰의 순간이 오기 이전 단계도 간과할 수가 없다.모두에서 말했듯이 이론,사실,발명 등이 완벽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하나의 가설(Hypothesis) ->알 품기 ->통찰 ->검증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통과해야 한다.이러한 정석을 밟아 나가야 통찰의 의미는 더욱 가치를 발하게 되는 법이다.세칭 이러한 통찰의 경험을 최초로 발견한 자들에겐 명예를 부(富)를 거머쥘 수도 있다.일종의 전매 특허라고나 할까.

 

 이 도서의 저자 윌리엄 어빈은 종교,도덕,과학,수학,예술이라는 다섯가지 분야에서 통찰의 순간을 기록하고 있다.계시의 이미지가 강한 종교,인간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일과 해서는 안 될 일을 구분하는 도덕,나아가 시간과 노력,의지의 결집이 요구되는 과학,수학,예술이 자리잡고 있다.계시에 의해 하나의 교리,가르침이 탄생하는 종교와 신앙은 나약한 인간의 심신을 이용하면서 정치적 집단으로 부상하고 있고,간디의 예와 같이 인종차별에 직면하면서 인권 운동가가 변신하는 계기가 되었다.인권 문제는 아직도 전면 해결되지 않고 있어 인권(시민) 운동가를 중심으로 풀어나가야 할도덕적 문제이다.나아가 실험과 관찰,발견에 대한 호기심을 시작으로 욕망과 명성을 꾀하는 과학과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했던 앤드루 와일스의 수학에 대한 통찰의 순간(기억 회상 시스템)이 얼마나 황홀하고 감격스러운지 간접 체험할 수가 있다.끝으로 음악,미술,창작과 같은 예술 분야는 어떠한 영감 작용이 모티브가 되어 쓰고 지우고 그리고 지우기를 반복하면서,인고의 시간과 세월을 겪은 후에 비로소 만족할 만한 작품이 알껍질을 깨고 나오지 않을까 한다.

 

 작곡가 제임스 모벌리가 말했듯 작곡하는 시간 가운데 2퍼센트만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하고 나머지 98퍼센트는 아이디어를 비틀고 개정하고 확장하는 데에 쓰인다고 한다.창작이라는 작업은 본업이든 취미든 각고(刻苦)의 시간,에너지 소모가 절대적이다.종교,도덕,과학,수학에 대한 통찰도 이러한 맥락에서 바라보아야 할 사안이다.이러한 다섯 가지 분야의 통찰의 순간들은 결과에 따라 명성과 부,권력까지 차지할 수 있어 놀랍기만 하다.게다가 인류가 겪고 있는 무지,부조리,질 낮은 삶을 해소하는데 궁극의 역할이 가능하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삶의 순간 순간 찾아오는 통찰력은 가설과 영감 작용이 모티브가 되어 시간과 노력,무의식 등이 얽히면서 세상 속에 탄생되는 것이라는 것을 새삼 느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