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
할런 코벤 지음, 이선혜 옮김 / 문학수첩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스릴러물은 예상치 못한 우연을 가장한 사건.사고가 롤러코스트를 타듯 짜릿한 높낮이를 반복하면서 생사의 기로를 맛보는 등 우여곡절이 오가기도 한다.결말은 작가의 의도에 따라 정해지지만 희극(喜劇)으로 결말이 나는 것을 좋아한다.6년이라는 작품도 그러하기를 (내심)바라면서 읽어 내려 갔다.그리고 대부분 원하던 바대로 글이 전개되어 흡족하기만 하다.

 

 남.녀 간의 사랑의 정석은 없는 것 같다.첫인상이 좋다고 결혼까지 이어지고 오래도록 행복하게 사는 경우도 있겠지만 살다 보니 크게 느끼는 것은 부부는 부족한 부분을 채워 주고 양보하면서 신뢰관계를 무너뜨리지 않는 것이 부부 관계를 지속시키는 길이 아닐까 한다.할런 코벤 작가는 예상대로 남.녀 간의 사랑을 주제로 독자들이 나름대로 생각하는 시간을 갖게 했다.그 주인공이 남자 제이크,여자 나탈리이다.

 

 사랑이라고 믿었고 평생을 함께 할 것 같았던 제이크와 나탈리에겐 배신과도 같은 시간이 찾아 왔다.나탈리가 제이크와 결별을 선언하듯 토드라는 남자와 공식 결혼을 하면서 다시는 연락도 하지 말고 만날 생각도 하지 말라는 일침에 따라 제이크는 나탈리에 대해 단념하게 된다.결혼 전 나탈리는 화가였고 제이크는 대학교 정치학교 교수의 신분이었는데,나탈리가 토드와 결혼하고 나서 6년이 지난 즈음,제이크 대학 회보에 토드의 부고를 접하게 된다.제이크는 나탈리가 혼자가 되었으리라 생각하면서 토드 장례식에 참석하지만 나탈리는 토드의 부인이 아니었던 모양이라 제이크는 황당하기만 했다.마음 깊은 곳에 나탈리에 대한 그리움이 식지 않았던 제이크는 나탈리의 행방을 찾으러 몸과 마음이 바쁘기만 하다.

 

 제이크는 나탈리와 처음 만났던 창조적 재충전 휴양소 및 나탈리를 소개해 주었던 사람을 만났어도 그녀의 행방은 도무지 찾을 길이 없는 가운데,제이크는 괴한 조직과 맞닥뜨리면서 납치를 당하면서 궁지에 빠지기도 한다.괴한 조직도 나탈리의 행방을 찾고 있어 그녀에 대한 행방은 더욱 미궁으로 빠지고 만다.제이크는 나탈리의 여동생,어머니를 비롯하여 CIA와 FBI에서 근무했던 친구 인맥,인터넷 메일을 통해 수색을 시도 하지만 결코 쉽지 않았다.나탈리의 여동생 역시 언니와 토드를결혼식 이후로 본 적이 없다고 하면서 해외 여행,의료 봉사활동을 다닌다고 하는데 여동생이 말한 토드와 결혼식 때 보았던 토드는 동명이인이라는 말인가.제이크는 분명 토드와 나탈리의 결혼식을 두 눈으로 똑똑이 보고 확인했을텐데 6년이 지난 시점에서 토드의 부인이 나탈리가 아니라니 귀신이 곡(哭)할 노릇이 아닐 수가 없다.

 

 나탈리는 찾는 과정과 작업은 지리멸렬하게 이어 가는 가운데 나탈리가 은행털이 사건과 관련되고 괴한 조직과도 연계가 있음이 밝혀진다.괴한 조직 사이에서 제이크와 나탈리는 6년 만의 극적인 해후를 하게 된다.나탈리는 그간 누구와 어디에서 살아왔던 것일까.나탈리의 남편 토드의 부고 소식으로 나탈리를 향한 그리움과 연모의 정이 꺼지지 않았던 제이크는 나탈리와의 만남은 짧기만 했다.제이크는 마치 잊기 어려운 첫사랑과도 같이 그녀와 새로운 삶을 설계하려고 했지만 현실은 공허한 거짓이 되어 버리고 말았다.그리움을 현실화 하는 것보다는 고이 간직하는 것이 때로는 삶에 활력을 더해 주는 처방약이라는 생각마저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