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를 잡아먹은 오리 - 2015년 제1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김근우 지음 / 나무옆의자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 교과서에 《벌거숭이 임금님》이 실려 있어 정신을 집중하면서 읽었던 기억이 엊그제 같다.재봉사와 임금 친구는 입을 자격이 없고 어리석은 사람에게 보이지 않는 멋진 의복이라고 하면서 물레 앞에서 옷감을 짜는 시늉을 하는데 너무도 순진했던 어린 마음이었던지 그대로 믿고 말았다.의복이 다 완성되었지만 정작 임금이 시가 행진에서 입을 의복은 눈을 씻고 쳐다 봐도 보이지 않을 뿐더러 이제와서 재봉사와 친구에게 속아 넘어간 자신을 탓할 수도 없었던 임금은 벌거벗은 채로 시가 행진을 했는데,한 소년의 눈에는 임금이 완전 벌거벗은 꼴을 보고 "벌거숭이 임금님"이라고 있는 그대로 소리 쳤던 소년의 용기 앞에 임금은 자신의 사적 욕심을 뒤늦게 후회했을 것이다.오랜 시간이 흐르고 보니 벌거숭이 임금님은 정말 황당하기 짝이 없었지만 욕심이 과하면 안된다는 것을 일깨워 준 불후(不朽)의 걸작으로 각인되고 있다.

 

 하루가 멀다 하고 자고 나면 쏟아지는 것이 신간들이다.다양한 영역의 신간들이 독자들의 시선과 관심이 구매로 이어지도록 다양한 행사를 하고 있다.셀 수 없는 수많은 신간들 가운데 시선을 집중시키는 도서들이 종종 있게 마련인데 황당하고 웃기기 짝이 없는 소재와 내용이지만 세상의 겉면에 드러나지 않은 민초들의 이야기는 때로는 내 주위의 이야기와 같기도 하고 내가 그 이야기 속의 주인공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이것을 육류로 따지면 도축하고 가공.정육한 고기를 냉동보관한 얼린 고기보다는 도축한지 몇 시간도 지나지 않은 생고기의 색깔,향,맛이 어우러져 침샘이 고이는 것과 같이 신선도와 생생함이 꿈틀거리기 마련이다.이러한 맥락에서 보잘것 없지만 절박하게 하루 하루를 살아가는 이들의 삶은 새털 같은 나날과 같고 측은지심이 들 때도 있다.

 

 제11회 세계문학상 대상작 소재와 내용이 황당하고 배꼽 잡기도 하지만 읽어 가노라면 하루 일당을 벌기 위해 처절하게 현실과 맞서 싸우는 사람들이 너무도 많다.이 글의 제목만 보면 누가 믿겠는가.오리가 고양이를 잡아 먹다니 말이나 될 소리인가.김근우 작가 팍팍하고 재미없는 세상을 향해 황당하고 웃기는 이야기로 씨름판에서 한판 승부를 겨루고 있는 상황을 연상케 한다.세상에는 진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가짜도 있고 얼치기도 있기 마련이다.그렇다면 어떻게 해서 오리가 고양이를 잡아 먹게 되었을까.

 

 자칭 3류 작가로 칭하는 나는 월세살이에 총 재산이 딸랑 4,267원이면서 월세를 내지 못하면 당장 쫓겨날 신세이다.또 한 명은 증권업계 사무원으로 일하다 주식으로 재산을 날린 한 여자로서 둘은 고양이를 잡아 먹은 오리를 사진으로 찍어 오라는 고용주인 할아버지 밑에서 일당(5만원)을 받아 가면서 절박한 생계를 꾸려 가는 이들이다.할아버지는 아들 내외,손주가 있지만 불화로 따로 떨어져 살고 있는데 손주가 여름방학을 맞이하여 할아버지에게 심부름으로 반찬통을 갖어다 주면서 남자,여자와 합류하면서 오리 찍기에 동참하게 된다.하늘엔 구름 한 점 없는 염천의 여름날,은평구 불광천을 배경으로 폴라로이드 카메라로 오리 찍기에 여념이 없다.매일 몇 마리를 찍었는지 셀 수는 없지만 할아버지에게 인화한 사진을 보여 주면 할아버지는 고양이(호순)를 죽인 오리는 영 나타나지를 않는다.똑같은 일이 반복되자 할아버지는 홍수가 져서 불광천이 범람한데도 물 속으로 들어가 오리 진범을 찾으려 했지만 오리가 "날 잡아라"는 식으로 할아버지를 유유히 헤엄쳐 가면서 조롱하고 할아버지는 구생일생으로 살아난다.이번 일로 할아버지는 오리 진범 찾기에 대해 한 풀 꺾이게 된다.

 

 10대 초반의 손주,아들이 할아버지의 정신 상태를 남자와 여자에게 가르쳐 주면서 비록 가짜이지만 할아버지가 말한 고양이와 오리의 몽타쥬를 바탕으로 고양이는 동물병원에서,오리는 (오리)축사에서 그럴듯한 놈을 구해 온다.할아버지의 마음은 과연 어떠한 심정이었을까.정말로 자신이 기른 고양이 호순이가 오리에게 잡아 먹혔을까.내 생각에는 아니올시다이다.할아버지는 아내를 잃고 자식과의 관계도 좋지 않아 따로 살아 왔건만 고독과 우울함을 달래려 고양이를 키웠다고는 하지만 그것은 핑계에 불과하다.다만 할아버지는 비축해 놓은 돈을 어떻게 활용할까 궁리한 끝에 황당무계한 스토리를 설정하여 가족과의 소원한 관계를 복구하고 고독에서 벗어나고자 했던 것은 아닐까 라는 느낌이 강하다.남자와 여자를 고용하여 일당 5만원씩을 주면서까지 고양이를 잡아 먹은 오리를 찾아 내고자 했던 할아버지의 이야기는 벌거숭이 임금님과 황당하기는 마찬가지이고 포복절도할 정도로 기발하기만 하다.새식구로 들어온 고양이와 오리는 할아버지 아파트 거실과 방을 반반씩 나눠 쓰게 되었다.할아버지는 가족과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고 새로운 식구를 맞이하여 더욱 바빠지게 되었다.남자와 여자는 할아버지에게 일당 5만원을 받으면서 지낸 시간에 대해 좋은 경험과 감사의 마음으로 살아갈 것이다.

 

 참신하고 기발한 상상력의 극치를 보여 준 이야기였다.황당하게 느껴지지만 이야기는 현실감 있게 당돌하기만 했다.게다가 생명줄과도 같은 일당으로 살아 가는 이들이 비단 글 속의 남자와 여자만의 얘기는 아니다.새털과 같은 나날의 연속을 아주 근근하게 사는 사람들을 되돌아 보는 계기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