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구를 타고 5주간 쥘 베른 걸작선 (쥘 베른 컬렉션) 12
쥘 베른 지음, 김석희 옮김 / 열림원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해저 2만리》,《80일간의 세계일주》의 작가인 쥘 베른의 색다른 이야기를 접하게 되었다.경이로운 탐험여행에 공상적 과학의 요소를 잘 살려 내고 있는 쥘 베른 작가는 이번 작품에서도 미개지에 대한 호기심과 상상력 그리고 미개지를 탐험하려는 도전정신을 잘 그려내고 있다.현재의 시각으로 보면 그다지 신선한 충격이라고 여겨지지 않은 일이지만 19세기 후반 검은 대륙 아프리카를 배경으로 공중을 나는 기구(氣球)를 타고 대륙을 종횡무진하는 모습에서 쥘 베른 작가는 탐험정신의 진수를 유감없이 발휘하고 있다.쥘 베른의 탐험여행은 일종의 SF소설로 간주되고 독자에게는 나름대로 재미와 흥미,상상력을 고취하고 있는 것이다.

 

 

  3인 1조가 된 기구팀은 잔지바르섬에서 출발하여 남하하여 남아프리카공화국을 경유,모국인 영국으로 돌아가는 여정을 삼고 있다.일종의 여행 견문록으로서 여정과 여정간의 기구에 탄 탐험가들이 접한 다양한 에피소드는 흔히 접할 수 있는 것들이 아니어서인지 손에 땀이 날 정도로 긴장감과 몰입을 더해 주었다.새뮤얼 퍼거슨 박사를 대장으로 친구 케네디 그리고 충직한 하인 조가 기구에 동승하여 검은 대륙 상공을 날면서 아프리카 대륙의 기후,토양,동.식물들의 생태계가 어느 정도 감지하게 되었다. 기구를 타고 공중을 나는 이들에게 무슨 일이 벌어질까에 촉각을 세우며 읽어 내려 갔다.

 

 

 아프리카는 자연생태계의 특이한 곳으로서 다양한 동.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기구를 바라보는 아프리카인의 눈에는 기구가 이양선과 같은 꼴이었을 것이다.추장을 중심하는 하는 집단 공동체 생활에 익숙한 그들은 외지에서 온 그들을 적개심으로 대하는 것은 당연했을 것이지만 퍼거슨,케네디,조는 침착하고도 지혜롭게 대처해 나간다.그러나 가스의 힘과 풍력에 의해 이동하는 기구는 험난한 산맥,강,호수,맹수,조난,폭풍우에 맞서 나가야 할 때가 한 두번이 아니다.퍼거슨 박사를 중심으로 아프리카 탐험에 나서기 위해 준비한 물품은 천막,모포를 비롯하여 엽총,화약,탄환 등 2톤 가량의 중량이 나갔다.과연 그들은 기구 속에서 5주간을 잘 버텨낼 수가 있을까.

 

 부친이 선장인 퍼거슨,사냥 실력이 출중한 케네디 그리고 수영 실력이 으뜸인 조는 각각의 장점을 살려 아프리카 상공을 무난히 활공하는 줄 알았는데 도중에 조가 호수에 떨어지면서 생사가 불투명해지면서 분위기는 일순 가라앉게 되었다.그러나 이것도 기우에 불과했다.조는 생환하여 퍼거슨,케네디와 다시 합류하게 된다.기구명은 '빅토리아 호'로서 위풍당당하기만 하다.게다가 쥘 베른의 글에 삽화로 그려진 동판화는 기구에 탄 이들의 5주간의 모습을 생동감 있게 재현하고 있다.또한 기구팀이 아프리카를 탐험하게 된 목적은 나일강의 발원지를 찾을 목적이었는데 그만 탐험여정은 예상을 뒤엎는 순탄하지 않게 되었다.예상치 않은 위기,난관에 봉착할 때마다 기구팀 일행은 절대신에게 기도로 의지하는 것이 최대의 정신적 구원이었다.

 

 기구팀은 세네갈 생루이에 도착하면서 5주간의 기구 여행을 마치게 된다.해협,호수,산맥,(아프리카 특유의)풍토병,맹수이라는 위기를 극복하고 고국인 영국으로 돌아가게 된다.기구 여행을 통해 박사인 퍼거슨과 하인 조는 어느새 친구 사이로 바뀌게 되었다.험난한 미개지 탐험을 통해 정신적 우의가 발현하게 되었던 것 같다.과학적 탐험정신과 미개지 문명을 발전시키는 계기를 마련하는 쥘 베른의 역작이라 할 《기구를 타고 5주간》은 19세기 아프리카의 문명과 생태까지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