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우동, 사랑으로 죽다 김별아 조선 여인 3부작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적으로 남존여비 사상을 띠고 여성의 사회생활이 크게 제한을 받았던 조선시대에 여성에 의한 활동은 무슨 구경거리라도 생긴냥 떠들썩하게 사람의 입에 오르내리곤 했다봉건적이고 유교적인 가부장제하에서 여성이 밖에서 행세해서는 안될 일이 조정에 전해지기라도 하면 가차없이 의금부의 재판을 받아야만 했다.이것은 여성의 지체의 고하,집안배경을 떠나 엄격했다.비록 여자로 태어났지만 특별하게 세인들에게 오르내리는 여성들이 있었는데 대부분 춤과 노래,시 등을 짓는 기생출신이 대부분이었다.그녀들도 남성 못지 않게 뛰어난 두뇌와 발빠른 판단력,고관직 및 사대부 남성에게 총아와 신뢰를 받던 여성도 있었다.이러한 여성들은 '가물에 콩 나듯'했다.

 

 김별아 작가는 조선시대 여성으로서 금기시되었던 여성들의 모험을 뛰어 넘을 정도로 겁도 없이 행동했던 여성들이 있었다.일명 '금지된 사랑'으로 조선 권력에 의해 희생당한 여성들이 있었으니 바로 순빈 봉씨,유씨 그리고 어우동(於宇同)이다.김별아 작가가 구분지었듯 순빈 봉씨와 유씨는 동생애와 간통이라는 폐쇄와 고립에서 벗어나기 위한 '생존형'이었다면 어우동이 십여 명의 간부(姦夫)들과 농탕질을 한 것은 희대의 탕녀와 음부로 각인되지 않을 수가 없다.왕족출신이면서 시인,서예가,작가,기생,무희 등 요즘말로 하면 다양한 명함을 갖고 있는 사람이었다.어우동 그녀는 사랑을 받은 적이 없는 외로운 아이로 성장하면서 세상에 대한 불신과 혐오,환멸에서 벗어나고자 몸부림을 치고,사랑하는 대상도 신분과 지위의 고하가 없었다.왕족,노비,문신과,무신 가릴 것이 없었다.좋게 말하면 야하면서도 쾌락주의자이고 다른게 표현하면 사랑에 굶어 닥치는대로 욕망을 불살랐던 희대의 음탕녀라고 볼 수가 있다.

 

 초여름 냄새가 났다.비리록 서늘한,사내 냄새였다. -P7

 

 이 글은 첫문장부터 성욕을 치르고 난 직후의 광경을 공감각적 효과를 살리고 있다.계집을 다룰 줄 아는 사내와 사내의 성격을 알고 꽃뱀처럼 요사하고 농염한 자태로 홀리는 여성이 어우러지면 장작불과 같이 활활 타오르리라.어우동은 고관대작과 세족출신의 부모 밑에서 자랐지만 성향은 화냥년끼가 있는 어머니를 닮은 것 같다.아비는 성불구자,오빠는 미친놈이었으니 어우동은 정신적 결핍 집안에서 자랐던 것 같다.관아의 아전를 비롯하여 태종의 아들,세종의 중형,백부의 제자 등과 얽히고설키며 세조,예종 양대 재사(才士)에 이르기까지 어우동의 음담,탕녀로서의 행각은 식을 줄을 몰랐다.그런데 어우동은 이렇게 지칠줄 모르는 사랑의 행각이 남자 쪽에서 꾀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어우동 자신이 스스로 사서 저지르는 한바탕 치르는 질펀한 사랑이었다.어우동의 전생은 색(色)을 낚았던 모양이다.태강수의 아내로서 왕족의 종친들을 간통하는 바람에 그녀의 행각이 발각된다.성종은 사회기강을 바로잡는 차원에서 그녀를 교형에 처한다.유부녀로서 바람을 피웠으니 할 말은 없을 것이다.그녀의 죄질은 풍기문란죄 정도이지만 교형에 처해졌던 것은 어우동이 광기적인 음탕녀로서 소문이 꼬리를 물면서 사회적인 문제로 크게 번질 것을 염려하여 아예 싹부터 잘랐던 것으로 보인다.어우동이 색녀의 대명사이다 보니 김별아 작가 역시 성애와 관련한 표현이 전에 없이 농도가 짙기만 하다.흥미로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