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의 재발견 - 다산은 어떻게 조선 최고의 학술 그룹을 조직하고 운영했는가?
정민 지음 / 휴머니스트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의 석학이면서 수많은 저서를 남긴 다산 정약용선생에 대해 진귀한 자료와 그의 발자취를 간접 체험하는 계기가 되어 무엇보다도 다행이다.조선후기 천주교가 탄압과 박해를 받으면서(신유사옥) 형(정약전)과 함께 각각 강진과 흑산도로 유배의 길을 떠나게 된다.그가 1801년부터 1818년까지 18년간 강진 유배시절 후학을 양성하고 승려 및 문인들과 교유하면서 방대한 저술과 시첩 등을 엮어 내기도 하고 아끼는 후배에겐 아낌없는 조언과 지원이 있었다.또한 학파(기호학파와 영남학파)간의 대립도 엿보이고 그의 아들 학연과 학유에게도 학문의 자질을 전승한거 같다.

 이 도서는 방대한 분량이지만 주로 다산과 그와 교유했던 분들의 시와 시첩이 오랜 세월과 함께 색이 바랬지만 그 학문적 가치는 높다고 생각한다.그간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던 자료들을 찾아 나선 저자의 발품과 자료의 소지자들과의 끈질긴 교섭력의 결과물이 독자들의 시선을 끌기에 충분하다.대표적으로는<매옥서궤>,<다산여황상서간첩>,<수종시유첩> 등의 자료가 있고 그림으로는 <매조도>와 <일속산방도>가 인상에 남는다.매조도의 경우는 그의 첩에 의해 태어난 자식을 그리워하면서 그린 그림이라고 한다.

 다산은 강진 유배시절 강학과 제자 교육,사지 편찬과 불승과의 교유,공간 경영과 생활 여백,다산 일문의 행각과 낙수(落穗)가 주요 내용이다.교학 방식은 단계별,전공별,맞춤형,실전형,토론형,집체형으로 나뉘고 있는데 꽤 단계별,수준별 교육의 전형이라 보여진다.다산여황상서간첩에선 제자 황상에 대한 애정이 잘 나타나 있으며 배우는 사람의 자세로서 혜(慧),근(勤),적(寂)이 있어야 성취감이 있다는 대목이 인상적이다.또한 승려 초의,호의,하의 등 3명의 승려들은 성씨가 다산과 같은 정(丁)씨여서 아꼈는데 천대를 받던 불교보다는 자신과 같은 유학의 학문세계로 동참해줄 것을 권유하는 대목도 눈에 띈다.

 다산의 부자론은 예나 지금이나 대동소이하지만 진정한 부자가 무엇인지를 일깨워주는데 옳은 일을 해서 이롭게 된 경우,옳은 길을 갔는데 손해가 된 경우,나쁜 일을 해서 이로움을 취한 경우,나쁜 짓을 해서 결국 해는 입는 경우를 들려주고 있다.대부분 둘째와 셋째의 선택을 두고 고민과 갈등을 일으킬 수도 있지만 세상의 이치가 도덕군자가 아닌 이상 성실함보다는 성과를 중시하기에 세번째가 많지 않을까 싶다.나아가 다사나은 원포(園圃) 이를 테면 과수원이나 채마밭을 가꾸고 일구어 자급자족 및 판매로 인한 가정 경제에 보탬이 되도록 꼼꼼하게 들려주고 있고 가정에서의 아내의 역할(게으르지 않고 알뜰살뜰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가 유배시절 아끼고 소중하게 여겼던 제자,승려들,후학들과의 교유와 그의 사후 맏아들 학연,추사 김정희,황상 등이 그를 기리고 학문과 우정을 나누는 시와 서간들이 세속을 벗어나 유유자적하고도 풍치있으며 자연을 벗삼아 살아가는 소인묵객(騷人墨客)의 절정을 담대하게 보여주고 있다.형극의 길인 유배지의 생활이지만 다산은 조정에 대한 불만 및 원망보다는 자신의 학문세계를 초지일관 조직하고 운영하며,그와 주위 사람들과의 원만한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밀착시켜간 점이 무엇보다 대인이라고 할 만하다.읽기를 잘 했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