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노후는 당신의 부모와 다르다 - 강창희 소장의 100세 시대를 위한 인생설계
강창희 지음 / 쌤앤파커스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과 의학수준이 발달함에 따라 현대인의 수명이 100세를 바라보고 있다.늘어난 수명만큼 노후문제가 맑게 개인 하늘과 같다면 좋겠지만 대부분은 노후대비가 막연하고 불안감마저 안고 있다는 점이다.정년을 60세로 잡는다면 100세까지는 80,000여 시간이라는 기나긴 시간이 있기에 돈이 많든 적든 제2의 인생설계서 즉 후반인생을 지금부터라도 착실하게 준비해 나가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개인적으로는)아직 딱 부러지게 노후대비가 안되어 있는 상태라서 이 글을 읽다 보니 저절로 긴장이 되고 각성하는 시간이 되기도 했다.

 

 우리 부모세대는 피와 땀으로 자식을 기르고 가르쳐 어느 정도는 자식들로부터 생활비를 드릴 수가 있지만 우리 자식세대가 어른이 된다면 과연 자식들에게 의지하고 손을 벌릴 수가 있을 것인가.자식들이 부모로부터 지원받은 엄청난 교육비에 결혼할 때에는 결혼자금까지 마련해 주어야 할 텐데 그러한 물질적 지원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이 부모와 자식 간의 잘못된 관행이라는 생각을 요즘에서야 하게 된다.내가 서구적인 의식과 인식은 갖지 않았지만 자식이 언제까지 부모로부터 손을 벌려야 하는가를 진지하게 생각해 볼 문제이다.자식은 부모와 피를 나눈 사이이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독립된 인격체이기에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여건과 준비를 하도록 평상시 멘토를 해주어야 할 것이다.부모가 자식에게 돈으로 모든 것을 해결해 줄려고 하다보니 자식들이 어른이 되어 사회인이 되었을 때에 과연 부모의 수족에 돈이 없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그때에 가서 자식에게 손벌리고 아쉬운 소리를 할 수가 있겠는가.지금보다 더 경쟁이 치열하고 직장의 문이 좁아 자식들도 먹고 살기가 힘들 것이기에 현명하게 대학까지만 적극지원하고 나머지는 스스로 자립하여 결혼도 하고 사회인이 되기 위해 단단히 준비하라고 하려고 한다.

 

 종신고용이 이미 사라지고 50세 정도만 되면 자의든 타의든 직장을 그만두게 된다.50세 정도라면 자식들 앞으로 교육비가 한창 나가야 할 시기이고 그 금액은 만만치가 않다.부모 역시 한창 일할 나이에 사회구조조정,명퇴 등으로 몸과 마음이 안정이 안될 것이다.아이들 교육비,노후문제,의료비 등 머리가 지끈지끈할 정도이다.기본적으로 노후를 보내기 위해서는 월180만원(현재 가치)정도가 필요하다고 하는데 10여 후에는 이 돈마저 물가슬라이딩에 의해 가치가 절하될 것이다.그래서 자신이 60세 이후 매월 받을 연금환산액을 고려하여 열심히 벌고 알뜰하게 돈을 모으는 수밖에는 없다는 생각이 든다.직장퇴직연금,국민연금,개인연금 등은 기본적으로 준비하고 가능하면 이 돈은 쓰지 않고 노후가 시작되면서 매월 수령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그러나 현실은 생각대로 되주지를 않는다.직장을 그만두면서 일시불로 받은 퇴직금은 창업자금,교육비 등으로 나갈 것이고 집이 있는 사람은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사업에 보탤 것이다.그저 잘되기만을 바랄 뿐이다.

 

 또한 개인사업이나 재취업이 어렵다면 허드렛일이라도 꾸준하게 할 수 있는 곳을 찾아 일을 하는 것도 좋은 방편이라고 생각한다.실버들을 위한 취업사이트인 인재은행이나 시니어 워크넷 등에 문을 두드려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반면 돈이 어느 정도 있는 사람도 은행에 맡겨 이자를 매월 곶감 빼먹듯 하는 것보다는 믿을 수 있는 금융기관에 포트폴리오 형식으로 투자를 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물론 투자를 하기 전에 남의 말만 믿지 말고 여기 저기 알아보고 비교한 후에 투자선택 및 결정을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한다.예를 들어 주가가 낮을 때 사고 오를 때 파는 기민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대부분은 금융기관 및 지인들이 오를 때 홍보를 하게 되는데 이때 주식을 매입하게 되면 대부분 몇 달 못가 주가가 하락하는 경향이 크다.결국 남의 말을 믿고 투자를 하게 되었으니 누구에게 원망도 못하게 되는 것이다.자신의 생계와 관련된 문제이기에 신중에 신중을 거듭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빨리 찾아온 조기은퇴 및 늘어난 수명을 놓고 대부분의 서민들은 후반 인생을 어떻게 꾸려 갈지 난감할 거라는 생각이 든다.불필요한 지출을 최대한 줄이고 일을 할 수가 있다면 (자신을 위해)꾸준히 일을 할 수 있는 곳을 찾는 것이 좋을 것이다.즉 눈높이를 낮추어야 한다.인생의 황금기와 같이 돈을 많이 번다는 의식보다는 생활비를 벌고 건강도 되찾는다는 데에 의미를 둔다면 좋을 것이다.자신의 경제적 상황,입장에 맞춰 자기계발도 좋고 세계여행도 좋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