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자연유산 - 유네스코가 선정한 5대 명소 가이드 여행인 시리즈 5
박지민 지음 / 시공사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5,000여 년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나라,56개 민족에 14억에 가까운 인구가 어우러져 있는 다민족 국가,울창한 열대 삼림부터 사막과 만년설까지 다양한 기후대와 지형을 품고 있는 광활하기만 한 중국 대륙은 표면적인 경제 성장에 가려져 그들이 자랑하는 문화유산의 면모는 크게 알려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렇게 유구한 역사와 광활한 대륙 중구에는 1985년 유네스코 협약에 가입한 세계유산이 총 40곳이다.그 중에 문화유산이 28곳,자연유산이 8곳,복합유산이 4곳이라고 한다.문화유산은 둔황 막고굴부터 소림사까지 28곳이며,자연유산은 주자이거우를 비롯하여 단샤 퇴적암 지형까지 8곳이며,복합유산은 타이산,황산,어메이산과 러산대불,우이산이 있다.

 

개인적으로는 중국에 대한 유람은 수박 겉핥기 식이었다.업무차,잠깐 이리 저리 휩쓸리고만 이름 모를 거리,유적지가 고작이기에 중국이 낳은 위대한 자연유산은 그림만 보아도 절로 탄식이 나온다.태초의 자연이 빚은 맑은 물과 오장육부를 얼얼하게 만들게 하는 위용과 장엄함이 충만한 자연생태계와 조각 조각 하늘을 향해 자태를 뽐내는 봉우리들은 어쩌면 남성의 면모 같기도 하고 어쩌면 육중한 어머니의 속살과도 같이 다가온다.

 

이번에 소개되는 중국의 자연유산은 주자이거우,황룽,황산,장자졔,싼칭산이 그것이다.신비로운 색채와 소수 민족 장족의 삶이 전통 그대로 살아 있는 주자이거우,늠름한 위용을 간직하면서 신선의 세계에 들어온 듯한 황룽의 다정한 모습,한국인 여행객이 즐겨 찾는다는 남성적 아름다움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황산의 절경,고대 중국 수묵화를 그려 놓은 듯한 산수화의 원본으로 착각할 정도의 장자졔,기송,기암,운해가 압권인 싼칭산이 차례대로 소개 되어 있다.

 

한국에서의 직항편은 없는 것 같다.상해,광주 등의 대도회지까지 간 다음 예약버스를 타고 명산까지 가는 방법이 대부분이다.특이한 것은 입장료가 비싸고 고산이 많다 보니 상비약을 준비해 가는 센스가 필요하다.그곳에는 소수민족이 살고 있기에 시간이 되면 소수민족의 전통적 삶의 단면을 느껴보는 것도 유익할 것 같다.

 

 

인간의 손길이 전혀 닿지 않은 5대 자연유산은 자연과 세월,바람과 공기가 만들어 놓은 태초의 신비함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소수 민족들의 애잔한 삶과 그들을 안고 있는 명산은 분명 유네스코에 등재할 만하다.여행정보,트레킹 정보도 깔끔하고도 자세하게 수록되어 있어 안심하고 다녀 올 만한 곳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