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동네 어린이도서관 101% 활용법
김명하 지음, 마이클럽닷컴 기획 / 봄날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독서문화가 저변화 되면서 독서의 공간도 그만큼 중요해졌다.독서를 생활화 하면서 생각과 사유의 폭을 넓혀 가면서,정해진 주제를 갖고 열띤 토의와 토론을 전개하는 문화가 초등학교 시기부터 정착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지구상에 있는 지구촌에서는 매일 1초에 86,000권의 간행물이 쏟아져 나올 정도로 글과 관련한 출판문화의 전성기가 아닌가 싶다.물론 글의 성격이 다양하겠지만 어린이들이 읽고 느끼면서 인격을 형성해 나갈 양서가 많이 출간되었으면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어린이들이 학교에서 공부하는 교과서가 주가 되겠지만 교과서의 내용을 아우르는 배경지식과 문제해결력을 쌓아 나가려면 어린이들에게 적합한 동화책부터 위인전,시,성장소설,과학탐구 등의 다양한 도서를 접하고 정리해 나간다면,학교 공부,성적 등도 자연스럽고 재미가 있을 것이다.가장 중요한 것은 학습동기,학습근육이 탄탄하게 형성되어 간다는 점이다.

 

국내에는 크고 작은 도서관들이 산재해 있다.일선 학교의 간이 도서관부터 면,읍,소도시,대도시의 지차체 별로 구성된 도서관에는 일반 열람실과 어린이 열람실이 있는데,부모가 먼저 아이를 데리고 도서관의 이모 저모를 설명해 주고,독서의 공간으로는 도서관이 최고라는 것을 느끼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을거 같다.찾고자 하는 도서,읽고 싶은 도서를 미리 적어 원하는 도서를 도서 색인에 맞는 장소를 찾는 법부터 도서관에서 책을 읽으면서 중요한 내용을 정리하고 체계화 하는 법을 길러 주는 것이 좋으리라 생각한다.

 

책을 읽는 것은 마음의 양식을 쌓아 나가고 세상을 넓게 바라보는 안목과 통찰력을 기르는 과정이라고 생각된다.부모가 늘 책을 읽는 모습을 자녀에게 보여 주고,책읽기가 왜 중요하고 이를 어떻게 활용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동기,목표를 심어 주는 조언과 대화를 나눠 간다면,자녀도 이를 자연스레 수용하여 학습과 인격형성에 커다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어린이 도서관의 역할,활용법(어린이,부모 모두),동네(아파트 단지내) 도서관 만들기를 통해 또래와 친밀해지는 계기를 마련하고,부모님들끼리는 유대관계가 돈독해지는 계기가 되기에 도서관은 치열한 경쟁과 정보화 시대에서 인간 관계를 창출해 나가는 장(場)이 될 수도 있다는 메리트가 있다.

 

자식 교육은 변함없는 백년지계이다.스스로 공부하는 법을 몰라서 허둥지둥 방황하는 아이에게 "공부하라"는 효과없는 잔소리보다는 지금이라도 아이를 정기적으로 도서관으로 데리고 가서 책을 찾는 법,도서관이라는 공공장소에서의 예절과 독서법 등을 경험하게 한다면 아이도 스스로 학습법을 체득하여 자기주도 학습이 가능하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