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 조선인 혁명가 김산의 불꽃 같은 삶
님 웨일즈.김산 지음, 송영인 옮김 / 동녘 / 200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러져 가던 구한말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시기는 핍박,탄압,착취,수탈 등 암울함 그 자체였다고 생각한다.힘없는 백성들은 일제의 공물 착취에 의해 양식을 모두 빼앗기고 초근목피로 연명을 겨우 겨우 해내야만 했고,나라의 독립을 위해 분연히 일어선 독립투사,열사들은 국내보다는 국외에서 항일독립의 뜻을 불사르면서 의연하게 초지일관 독립의 희망을 버리지 않았던 것이다.게중에는 명예와 권력,부를 위해 일본의 앞잡이로 철저하게 둔갑하여 민중들을 더욱 괴롭히고 고통을 주면서 일본으로부터 부와 명예의 보장을 받았던 것이다.그러한 친일에 가깝게 처신했던 사람들이 해방후 이승만 정권에서 현정권에 이르기까지 면면히 이어져 오는 세습적인 부와 명예는 천민들에게는 볼썽 사나운 꼴이다.민족의 정기,역사 바로 세우기는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국가정체성 고취 차원에서도 절대 필요하고 확립시켜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역사 교과서를 통해 인식하고 뇌리에 남는 항일독립운동가 및 열사들은 대개 정해져 있다.그들이 학수고대했던 민족과 국가를 위해 중국 만주를 비롯하여 상해,충칭 등지와 미국 등 해외에서 활약했던 독립운동은 멸사봉공의 정신에 다름 없다.그러나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을 새롭게 찾아 내고,그 독립운동가의 삶의 궤적과 뜻을 밝혀내고 인식해 나간다면 일제강점기의 간난신고의 독립운동의 뜻을 길이 새겨야만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본명은 장지락이지만 본명을 숨겨야만 했고, 숙명적이고 절박하게 드라마틱한 짧은 삶을 살다간 김산의 항일독립운동은 저자 님 웨일즈라 의해 그의 삶의 윤곽이 밝혀지고 고귀한 독립혁명의 뜻이 제대로 전달되어 건국훈장 서훈 추서까지 받게 되었다고 생각하니,항일독립운동사의 한 페이지를 추가하는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을사늑약이 강제로 발효되던 1905년에 태어난 김산(본명 장지락)은 3.1독립운동을 겪으면서 일본 유학을 떠나게 되지만 곧장 귀국하여 만주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하고 이동휘,안창호 등의 독립지사로부터 커다란 영향을 받으며 민족주의자,아나키스트(무정부주의자),공산주의자로 카메레온과 같은 변신을 거듭해 나간다.그리고 중국 여인과 결혼하여 딸 하나를 두기도 하는데,두 차례에 걸친 일본경찰에 체포,공산주의자로 변신하면서 중국 국공합작 와중에 장개석을 납치했던 시안 사건을 거쳐 그는 옌안(延安)에서 정치,사회기자였던 미국의 님 웨일즈(중국의 붉은 별을 쓴 에드가 스노우의 본부인)를 만나 자신의 인생역정을 담담하게 들려 주는데,김산은 일본어,중국어,영어가 가능하고 단테의 『신곡』을 비롯하여 톨스토이즘과 아나키즘으로 나아갔으며 사회주의의 바이블로 불리는 마르크시즘에 이르게 된 지식인이었다.님 웨일즈는 김산의 면모를 통해 참된 사실과 진실 등의 진리를 추구하는 성품을 갖었다고 한다.

 

조선 독립운동가들이 중국에서 살아 남으려면(조선 독립을 위해) 민족주의자로부터 아나키스트,공산주의자 등으로 살아 나가야만 했던 것이다.그는 님 웨일즈에게 말하기를 "노선을 위해 내가 있는게 아니라,조국 독립을 위해 그런 길이 필요했다"고 한다.

 

결국 김산은 옌안에서 공산주의자로 활동하던 중 중국공산당 사회부장이었던 캉성(康生)에 의해 '일제 스파이(밀정)로 몰려 쥐도 새도 모르게 처형이 되었다.그의 나이 향년 34세였다.중국은 뒤늦게 김산의 죽음이 잘못 되었다는 것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그의 명예와 공산당원 자격을 회복시키고 복원을 결의하게 되었던 것이다.

 

1937년 옌안에서 김산을 만난 님 웨일즈는 김산의 행방을 몰랐다가 문화대혁명이 끝난 직후에 알게 되면서 깊은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지식인이면서 독립운동가였던 풍운아,김산은 님 웨일즈에게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면모를 가감없이 다 털어 놓았던거 같다.누구에게도 털어 놓을 수 없었던 자신과 사회,제국주의 신질서에 대항하려 했던 댓가는 그에게 투옥과 고문,병마,잠행(潛行)의 연속이었던거 같다.독립혁명가 김산이 애타게 기다리던 『아리랑』의 한은 후손들에 의해 길이 남을거 같다.가슴이 뭉클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