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절반은 맛이다 - 박찬일 셰프 음식 에세이
박찬일 지음 / 푸른숲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간과 세월이 흐르다 보면 지나간 기억들이 새록새록 돋아날 때가 있다.인간의 두되가 시간의 깊이 만큼 기억은 희미해져 가지만 오감을 자극하고 충격적인 사건이고 반복되어 회자되는 일이라면 켜켜히 내려 앉은 시간과 세월의 먼지 만큼 기억과 추억거리도 문득 떠올리게 하고 때로는 살아가는데 삶의 활력과 반전을 안겨 줄 때도 있다.

 

산다는 것 자체가 먹고 입고 여가를 즐기면서 삶의 의미와 가치를 더해 간다고 생각한다.그 속에는 희노애락이 담겨져 있을 것이지만 먹는 일이라면 쓴맛,단맛,신맛,매운맛에 형용할 수 없는 무미건조한 맛도 있을 것이다.나 또한 먹는 것은 좀 까다로운 편인데,할머니,어머니가 손수 텃밭,산과 들,재래시장에서 장을 보고 온 재료들로 만든 할머니,어머니의 손맛이 그리워서 추억에 잠길 때가 많은데,맞벌이를 하면서 간편하게 빨리 먹을 수 있는 요즘 음식들은 한 번쯤은 먹을 만한데 자주 먹으면 질리게 되는 간편음식이 많아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다.

 

사람마다 음식에 대한 기호와 추억거리가 다르겠지만 내가 좋아하는 추억의 음식은 서너가지이다.(하지)감자에 갈치를 넣어 조린 갈치조림,재래식 시장에서 파는 각종 국밥(돼지고기 및 콩나물),매운탕,그리고 각종 산채나물을 즐기고 선호한다.

 

모심기,벼베기,벼타작 등에는 할머니만의 갈치조림이 칼칼한 맛에 감자와 예쁘게 익은 갈치살이 입안을 적당하게 자극하고,어릴 적 아버지는 나를 재래시장에 자주 데리고 갔는데 돼지고기와 순대가 들어가 있는 국밥을 시켜 주셨다.그때는 몰랐는데 어른이 되어 아버지를 생각할 때면 아들에게 전해준 '따뜻한 보시이고 사랑이였구나'라는 것을 가슴 저리게 느끼곤 한다.고향이 전주라서 콩나물 국밥은 자주 먹었다.반찬은 새우젖과 넓적하고 큼직하게 썰어 놓은 깍뚜기이지만 추운 날 먹고 나면 속이 든든해서 참 좋다.끝으로 산채나물은 해와 바람,공기를 벗삼아 산과 들에서 자라나는 고사리,취나물,부추,가지,고들빼기,달래,돌나물(시골에서 돈나물이라고 함)가 들어 있는 나물반찬이 건강에도 좋고 자연과 친해지는 거같아 자주 찾고 추억 속으로 빨려 들어가게 한다.

 

저자 박찬일 셰프의 맛의 추억여행은 아련한 추억 한 장면 한 장면을 공교하게 연결하여 희미한 옛 시절의 오감을 자극하는 맛과 함께 했던 식구들,그리고 맛을 찾아,허기를 채우기 위해 발품을 팔아 나섰던 설레임과 맛을 간직하고 있는 공간적 배경이 산과 들로,시장으로,어릴 적 초가집으로 나를 되돌리게 하는 시간이 되었다.추억이 깊게 배여 있는 그 시절의 맛에는 할머니,어머니,아줌마의 정성과 손재주의 결과가 담겨 있다고 생각되기에 그 시절로 다시 돌아가기는 어렵지만 내 마음 속에 살아 있는 추억의 맛을 절반만이라도 흉내를 내려 가끔은 직접 만들어 음미할 때도 있다.삶은 각박하지만 그리운 시절을 생각할 때마다 잊어 버린 추억의 맛들이 있어 사는 보람을 느낄 때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