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 MBC 느낌표 선정도서, 보급판, 최순우의 한국미 산책, 학고재신서 1
최순우 지음 / 학고재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의 전통적 미적 감각은 불교와 유교라는 종교색과 국난극치,장인들의 섬세하고 정교한 손재주,인고의 정신,미를 숭상하는 예인의 정신이 하나의 메타포가 되어 한반도 산하에 산재되어 있는 각종 건축물,불상,석탑,금속 공예,목칠.민속공예,토기,청자,분청사기,백자,회화에 담겨져 있다고 생각한다.또한 백의 민족으로 상징하는 한민족의 특성상 화려함보다는 단백하고 은은한 맛이 잘 배어져 있다.

 

 

오랜 세월 박물관장을 역임하고 한국미에 대한 예리한 통찰력과 독특한 감수성으로 빚어 내고 있는 한국미 산책은 건축에서부터 회화에 이르기까지 외견상 보여지는 작품의 완성도는 물론이고 최순우 선생이 찬미하고 있는 한국미의 찬사는 듣는 사람의 귀를 번쩍이게 하기도 하고 한국인으로서의 자부심도 고양시켜 준다.특히 서양문물이 한국사회의 면면을 도색하고 예스러운 존재들이 산화해 가고 있음을 직시할 때,아직도 그 풍상을 거뜬히 이겨 내고 외세의 오욕도 대쪽같은 선비와 같이 그 자리를 지켜 주고 있다는 점에서 경이롭고 든든하다는 생각이 든다.

 

 

 

문무대왕의 유언에 따라 호국룡의 성격을 띠고 탄생한 석굴암의 본존불(本尊佛)

 

 

 

추상의 아름다움이란 야릇한 매력을 지니고 있는 분청사기조화문편병(粉靑沙器彫花文扁甁)

 

 

 

맑고 조횽한 푸른 빛의 아름다움을 재현한 청자상감운학문매병(靑磁象嵌雲鶴紋梅甁)

 

 

 

화엄사 사사자(四獅子) 삼층석탑

 

 

가만히 하늘을 들여다보면

눈썹에 파란 물감이 든다.

두 손으로 따뜻한 볼을 쓸어 보면

손바닥에도 파란 물감이 묻어난다. - 윤동주시인의 푸른 하늘 -

 

 

최순우선생이 소개하고 있는 한국미의 대표들은 셀 수가 없을 것이다.운이 좋게 최순의선생의 눈에 띈 작품들이 이 글에 소개되었을 것이다.고색창연한 예스러움과 독특한 창작으로 후손들에게 감흥을 안겨 주는 작품들은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전혀 손색이 없다.찬탄을 불러 일으키고도 남는다.

 

 

전통적인 기와집의 구조와 부대 살림살이(장독대,자수병풍 등),불국사,부석사,법주사 등의 사찰의 불교빛이 감도는 형체 및 불상과 석탑,신라의 청자부터 조선의 분청사기,백자의 온유하면서 육감이 돋보이는 살찐 맛,정선,김홍도,신윤복이 보여 주는 조선 산하,일상의 유유자적함 등이 최순우선생의 예스럽고 정교한 해설은 공감과 자부심을 안겨 주기에 충분하다.

 

 

* 배흘림: 원주(圓柱)의 윤곽을 중간쯤에서 밖으로 굵게 만든 미묘한 양식 내지 약간 불룩한 곡선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