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들에게 희망을 - 전 세계에 희망을 전하는
트리나 포올러스 글 그림, 김석희 옮김 / 시공사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예로부터 동물을 소재로 한 우화는 어린이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감동과 교훈,희망을 안겨 준다.길지 않은 문장이지만 그 문장 속에 함축되어 있는 교훈적이고 희망 섞인 메시지는 누구든 세상 특히 무관심했던 것들에 대해 새롭게 생각하고 다가서게 된다.개미,달패이,애벌레부터 몸집이 큰 동물들은 인간이 무시하고 짓밟으려는 잔인한 속성으로 자연 생태계는 더욱 파괴되어 가기에 우화는 계몽적이기도 하다.

 

 

얼마 전에는 중국인이 쓴 개미와 달팽이의 이야기를 통해 비록 느리고 힘겹게 살아 가지만 개미,달팽이에게도 고귀한 생명이 있고 삶의 방식이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하찮게 보이는 연약하고 볼품 없는 미물일지라도 사람 사는 세상의 원천이고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 주기에 더없는 고마운 존재이다.함부로 짓밟고 버리는 행위야 말로 인간의 삶에 원동력이 되는 자연 생태계를 파괴하는 것과 같다는 생각이 든다.

 

 

도서의 겉표지가 밝고 화사하다.겉표지가 주는 이미지는 '나비'라는 작은 생물체가 선망의 대상이 되고 희망의 상징이기도 하는듯 하다.아래 두 마리의 호랑 애벌레와 노랑 애벌레가 이 글의 주인공이기도 하다.수북하게 켜켜히 높이 쌓아져 있는 애벌레 무리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를 생각하는 호랑 애벌레는 용기와 모험을 안고 애벌레 무리를 밟고 삐적삐적 기어 올라가면서 노랑 애벌레와의 만남이 신비롭고 희망적이며 둘이 나누는 우정은 서로 사랑하는 사람들을 연상케 한다.

 

 

나뭇잎을 갉아 먹고 사는 호랑 애벌레가 노랑 애벌레와 함께 애벌레 끝에 기어 오르려다 노랑 나비는 자신이 해야 할 일은 길고 긴 고치의 산고를 거쳐 꽃들이 반겨 주는 나비가 되기로 마음을 먹게 된다.반면 호랑 애벌레는 애벌레의 무리를 밟고 기어 올라 그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만 생각하게 되는데, 그 사이에 노랑 애벌레는 밝고 영롱한 노란 나비가 되어 꽃들의 벗이 되고 세상을 밝게 비추기 위해 이리 저리 유유자적을 하게 된다.불현듯 호랑 애벌레의 안부가 걱정이 되어 호랑 애벌레가 있는 곳을 기웃거리며 호랑 애벌레에게 나비가 되어야 제대로 세상을 밝게 비출 수 있다는 무언의 메시지를 남겨 준다.이에 호랑 애벌레는 자신의 허황된 꿈을 포기하고 땅 아래로 내려와 노랑 애벌레가 고치를 만드는 방식을 하나 하나 배우면서 자신도 검정 나비가 되기로 마음을 먹게 된다.

 

 

결국 둘은 노랑,검정 나비가 되어 푸른 들판,파란 창공을 유유히 날면서 드넓은 세상을 체험하고,들녘에 피어난 꽃들에게 다가가 수분 활동도 하고 꽃들의 벗이 되어 주기도 한다.꽃들은 나비들 덕분에 무럭무럭 자라고 세상을 밝고 환한 희망의 세계로 변화시켜 간다.

 

 

 

 

 

 

어린이용 도서이지만 이 글을 읽고 나서 산업화와 도시개발로 인해 산과 들,강이 무참하게 훼손되어 가는 것을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어린 시절 내가 살던 들녘,길,산허리는 봄이 오면 화사하게 피어나는 온갖 꽃들과 알 수도 없는 나비들이 이리 저리 팔랑거리며 유영하던 시절을 떠올리게 한다.농약,비료 등을 사용하면서 토양의 질을 악화되어 가고 그린벨트 훼손으로 이젠 꽃들도 자연산이 아닌 인공적으로 심은 꽃들로 즐비하다.시복을 안겨 주는 것은 좋지만 과연 그 옛날처럼 수많은 애벌레,나비,곤충,새들의 모습을 볼 수가 있을까 싶다.미물(微物)이지만 미물들의 존재,경이로운 생명,살아가는 방식,인간에게 끼치는 영향 등을 어린이들이 제대로 이해하고 자연을 아끼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