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은 언제나 되살아난다 창비시선 200
신경림 엮음 / 창비 / 200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 말해주듯 불이 완전히 소화된 것이 아니고 바닥 저변에 불씨가 남아 있다는 것을 상징해 주는거 같다.그리고 뭔가 활활 타오르면서 분노와 억눌림이 한꺼번에 터져 버릴거 같은 느낌을 안겨 준다.인간이 나약한 존재이고 사회가 썩어 문드러지고 군에 의한 독재정치가 횡행한다면 일반인은 어쩔 수 없이 면종복배와 동상이몽의 길을 걸으리라 생각한다.

 

한국사회는 해방이후 5년,한국전쟁,이승만정권하의 부정선거,박정희,전두환 군부독재시대에 인권탄압과 민주화의 후퇴가 현대사의 상징이고 안타깝게도 수많은 민주인사들을 주검으로 몰게 하고 희생시켰던 것이기에 현재를 살고 있는 대다수는 이 분들의 희생과 노고를 잊어 버려서는 안될 것이다.

 

창비에서 발간된 이 시집은 농민의 아픔,정치적 주장,체제 변혁을 노래하는 등 사회성이 짙게 깔리고 당대의 사회 부조리와 부정부패,인권탄압에 대해 암묵적인 요구가 거세어지면서 시로 형상화하여 민중의 아픔과 고단함을 달래려 했던 것이 시공간적으로 가깝게 다가온다.그리고 그러한 모순되고 부패한 사회 속에서 사람들은 시로부터 구원의 메시지를 얻으려 했다는 점이고,사회비판적인 시인들은 달콤한 침묵만이 능사가 아니었기에 사회에 동참하는 차원에서 직간접적인 시의 언어로 억눌림을 표출했던 것으로 보여진다.

 

이름만 대면 거의 알 수 있는 저명 시인들의 시들이 암울했던 시대와 사회의 모습을 대변해 주고 있다.고은,신경림,황도유,마종기,김지하,정호승,황지우,곽재구,박노해,김용택,도조완,안도현 등이다.시의 소재는 다양하지만 읽다 보면 행간과 행간의 의미가 저절로 느껴지고 억눌리고 짓밟히던 시대에서 푸른 창공으로 나래를 박차고 날아가고 싶은 진정한 자유의 숨결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음을 알게 된다.

 

언 몸뚱아리 감싸줄

따스한 옷을 만들고 싶다

찟겨진 살림을 깁고 싶다. - 박노해 시다의 꿈에서 -

못난 놈들은 서로 얼굴만 봐도 흥겹다

 

이발소 앞에 서서 참외를 깎고

목로에 앉아 막걸리를 들이키면

모두들 한결같이 친구 같은 얼굴들 - 신경림 파장(罷場)에서 -

 

사회는 빠르지는 않지만 거꾸로 돌아가지 않고 지금보다는 나은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어 있다.농경사회에서 산업화,탈산업화를 거쳐 신자본주의의 그늘에 살고 있는 요즘 실낱같은 지난 시절의 가난과 무지,억눌림,고초,몸부림이 새살이 돋아나 성숙되어 가고 당사자와 후손들에게 역사와 삶의 교훈이 될 것이다.인간은 실수와 오류를 범하면서 그 전철(輾轍)을 밟지 않으려는 지성과 지혜를 갖고 있다.

 

1945년 일제강점기로부터 1987년 정치민주화가 이루어지지까지 개인의 삶을 희생하고 사회와 국가의 발전을 위해 온갖 회유와 탄압,고문에도 굴하지 않았기에 사회에 대한 비판과 자아실현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생각이 든다.역사는 늘 굴곡으로 점철되고 예측 불가능한 요소가 산재해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