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팽이가 느려도 늦지 않다
정목 지음 / 공감 / 2012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현대인이 사회의 울타리 속에서 생존경쟁이라는 차원에서 일과 관계로 인해 심신이 하루도 편한 날이 없는거 같다.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거개가 자신의 능력한계를 이해하지 못한 채 탐욕과 이기주의로 인해 오히려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마저도 원활하게 돌아가지 못하는 것을 보고 느끼고 겪기도 한다.흔히들 인간 관계가 중요하다고 하는데 문제는 쌍방의 이기심이 팽팽하게 대치한다든지,상.하관계가 상생관계가 아닌 상명하복이라는 (일본식)조직 문화가 사회 구석구석에 아직도 잔존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선 사람과의 관계로 상처와 응어리,감정의 골이 얼마나 클지를 생각해 본다.

 

또한 유교문화가 깊숙이 뿌리를 내리고 있는 것도 사람과의 관계를 원활하게 이끌지 못하는 요인이고 가부장적 남성 우월주의 및 '빨리빨리' 해치우려는 조급증으로 인해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가 매끄럽지 않게 처리되는 경우가 많다.내 자신이 조금만 양보하고 마음의 배려를 상대에게 보여준다면 일도 잘 진행될테고 타인과의 관계도 밝고 원만한 관계가 지속되리라 생각된다.무엇이든 빨리 처리를 해야 속이 시원하고 성취감을 느낄테니 모두가 눈에 불을 쓰고 매사를 대하니 몸과 마음도 불이 난 상태라 될 일도 안될 때가 많고 실수 및 오류도 많을 것이다.

 

한 발 물러나 자신을 성찰하고 세상을 객관적 시각으로 바라보며 일의 인과관계를 마음 속으로 읽어 가다 보면 그간의 옹졸하고 편협했던 자신이 새삼 부끄럽게 느껴지고 깨닫게 되며 자신보다는 타인과 사회의 소외계층 등을 생각하고 둘러볼 마음의 여유가 생기지 않을까 한다.현실은 책임과 희생이라는 문제도 있기에 말처럼 쉽지만은 않겠지만 몸과 마음이 편안해야 일도 잘되고 인생이라는 끈을 이어가는데 오래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의 저자 정목스님은 처음이다.이 글을 읽으면서 인간의 탐욕과 이기주의로 인해 갈등과 반목이 생기고 마음의 상처가 오래도록 남은 이들에게 들려주는 산사의 명상곡과도 같다.부자든 빈자든 빈 손으로 태어나 빈 손으로 간다는 겸허한 마음자세만 갖추고 살아간다면 요즘처럼 혼탁한 세상이 어느 정도는 정화되리라 생각하지만 기성 사회 체제와 의식 구조가 '무한경쟁'을 종용하고 있으니 자신의 능력범위 내에서 최선을 다하되 남을 속이고 짓밟고 소수의 이익만 챙기려는 일부 몰상식하고 부도덕한 사회지도층부터 비루한 속내를 벗어던질 과감한 (자기)혁신이 이루어져야만 된다고 생각한다.

 

나도 사회생활을 하는 가운데 주체자보다는 종속자로 일을 해보니 이런 저런 상사 및 오너가 있다.다는 아니지만 윗선에 충복하는 충견이 되어 자신의 명예 및 사리를 채우려다 보니 아랫사람을 마치 자신의 종처럼 (거친 말과 행동)대하는 사람도 있다.부조리하고 강압적인 분위기이기에 속은 부글부글 끓어 오르지만 나를 바라보는 가족을 위해 참을 인(忍)자 세 개를 몇 번이고 새기고 새겼는지 모른다.훗날 이것이 인생 수업이라고 생각하고 그 곳에서 돈주고 배울 수 없는 무형의 자산을 체득했다고 하니 마음마저 편안해진다.

 

주위에는 별의별 인간군상이 있다.무난한 사람보다는 거칠고 매사 디미니셔와 같은 자들이 있다.그러한 자들에게 정목스님은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던진다.

 

저항적인 상대방과 마주해야 한다면

"나 나무토막이다" 혹은 "난 죽은 사람이다"하며

감정을 다스려보세요. - 본문 -

 

경제적 활동을 하는 몇 십년간 가족의 생계,자식 교육,위기시 대처,노후설계 등으로 하루 하루를 안일하게 살 수가 없다.각자의 삶의 양식과 가치관에 따라 최선을 다한다고 본다. 모두는 성공적인 삶을 살고 행복을 느끼기 위해 반복적인 일상과 무미건조한 삶이 지속되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만의 독특한 꿈을 즐기고 살아가는 것이 먼훗날 '후회없이 잘 살았다'가 아닐까 싶다.행복하다,행복하지 않다는 결국 자신의 마음가짐에 달려 있다는 것을 실천으로 옮겨야 할 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