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에는 아프리카가 없다 - 우리가 알고 있던 만들어진 아프리카를 넘어서
윤상욱 지음 / 시공사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프리카에 대한 선입견은 누구 뭐래도 부족 및 종교간의 전쟁,가뭄과 기아로 저주 받은 땅으로 인식된다.또한 친근하게 다가오는 사바나 초원 위의 동물들의 생태환경과 남아공 월드컵을 통해 자본주의의 물결이 서서히 도입되는 탈바꿈의 대륙이 기대되기도 하는 등 부정적인 면과 긍정적인 면이 교차한다.인류의 문명이 아프리카에서 시작되었고 화석인 '루시'가 최초의 인류였다는 고증을 통해서도 아프리카는 역사와 문명의 시원(始源)이고 연구해야 말 대상이 아직도 많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외교관이면서 역사학도인 저자는 아프리카의 과거와 현재,미래상을 5개 항목으로 나누어 현실감과 생동감을 균형과 조화있게 풀어내 주고 있다.가난하고 게으르며 굶어 죽어가며 에이즈가 창궐하고 있을거라고 생각되는 마(魔)의 검은 대륙 아프리카를 향해 달려 가고 싶은 충동감이 일었다.

 

19세기 중반 영국,프랑스,이탈리아,독일 등의 제국주의가 맹위를 떨치며 그들의 영토는 제국주의에 의해 30CM자로 금을 그어 놓은거 마냥 직선과 수직선 일색이다.게다가 적도를 중심으로 그 이북은 이슬람교도가 주가 되고 이남은 기독교가 주가 되는데,둘로 갈라진 종교 세력들의 다툼과 부족간의 학살 사건과 끝없는 피난민들이 줄을 잇고 20세기에 들어오면서 만델라를 중심으로 '인종 분리정책(아파르트헤이트)'에 반기를 들면서 아프리카에도 민주화의 서광이 떠오르고 만델라는 오랜 세월 옥고를 거치고 보무도 당당하게 노벨평화상까지 받게 된다.

 

아프리카는 '우분투'라는 부족과 부족장을 중심으로 단합과 단결을 보여 준다.환경과 문화적인 요인으로 그들은 나태하고 지능 지수가 낮으며 절대 빈곤 등을 보여주고 있으며 피부색,성기와 두뇌의 크기는 지능지수와 무관함을 알게 되며 문제는 부정부패와 절대 권력을 쥐고 있는 무능하고도 독재적인 아프리카 정부의 썩은 수뇌부에 있고 매년 구호물자와 자금이 아프리카에 유입되고 있지만 정작 힘없는 백성들에게 돌아가는 혜택은 '조족지혈'에 불과하고 그 혜택은 정치권과 관료들의 사복 챙기기에 여념이 없는게 아프리카가 안고 있는 정치,사회의 커다란 맹점이라고 아니할 수가 없다.

 

또한 능력보다는 인맥을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우수한 인재들을 해외로 유출시키기에 인적 부패 구조가 아프리카식 두뇌 유출을 조장(助長)하고 이렇게 무능하고 부패한 사회 인적 구조는 알게 모르게 유럽 제국주의의 식민 지배에서 아프리카 지도자들의 의식 구조를 썩게 만들었다고 보여진다.이는 멀리 거슬러 15세기 이래 팽창하던 유럽 자본주의의 희생물이 되었고 1960년대 식민지로부터 해방이 되고 아프리카에 대한 특혜 무역 관세와 경제 개발 기금을 제공받고 있지만 유럽이 아프리카에 대한 기득권을 잃지 않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는 점과 독립 이후 빈곤과 불행의 원이 되고 아프리카인과 아프리카 지도자에겐 잘못이 없다는 점이다.

 

특이한 독재다도 눈에 띈다.90에 가까운 짐바브웨 무가베 대통령은 국민들을 가혹하게 착취하는 독재자인 동시에,대외적으론 백인에 저항하는 흑인 투사 이미지를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그는 미국의 이라크 전쟁 및 리비아 가다피 축출 등 서방의 개입이 있을 때마다 신랄한 비판과 동시에 짐바브웨의 야당으로부터 미국의 유럽의 앞잡이라고 선전된다.

 

그들이 토착신앙으로 믿는 영물들

 

종교적인 문제 역시 그들은 부족장을 중심으로 토착 신앙이 깊게 뿌리를 내리고 그들의 현세관과 운명론적인 세계관을 보여 주고 있는데 그들이 믿는 모든 불행의 근원은 신 또는 죽은 자의 노여움,사악한 정령 때문이라고 믿고 있다.겉으론 기독교와 이슬람이라는 양대 종교가 아프리카 종교를 대별하지만 죽은 조상을 위해 음식과 동물의 피를 땅에 뿌리고 비를 주관하는 정령을 위한(기우제) 의식을 거행하는데 한국의 조상을 숭배하는 유교 의식과 어느 정도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으며 그들의 토착 신앙은 죽은 동물의 해골가 소뿔,맹수들의 가죽을 통해 사악한 기운을 내쫓고 병자를 치료하는 신비의 약재라고 믿는 것이다.

 

저개발과 빈곤의 대륙으로 알려진 아프리카에는 G8 정상회의에서 아프리카 대회정책인 NEPAD는 사회주의 붕괴 이후 서구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는데 G8 정상들은 서구의 요구에 부응하고 서구는 원조를 약속했지만 현재 아프리카의 역학 구도는 서구 선진국이 아닌 중국,인도,러시아,브라질(Brics) 국가들로 채워지고 있다.아프리카에 대한 선두주자는 당연 중국이다.아프리카에 매장되어 있는 풍부한 석유와 가스,광물 자원을 선전하기 위한 쟁탈전은 지금도 후진타오를 위시한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개발 계약과 기간 산업에 대한 건설 붐이 중국 정부 및 민간 기업의 진출이 두드러지며 노동자들의 비즈니스 개척도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등 중국은 이제 21세기 경제 대국을 향해 '중화(中華)'의 저력을 발휘하고 있다.

 

중국은 민주주의와 인권과 같은 서구식 가치가 아프리카엔 당장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견해이다.'먹고살 수 있는 권리(right to subsistence)'라고 생각하며 1970년대 말 떵샤오핑의 흑묘백묘론(黑猫白猫論)'으로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쥐만 잘 잡으면 된다는 실용주의 노선이 아프리카르 대하는 중국의 기본 자세라고 생각되며 아프리카의 정치,사회 문제 등은 건드리지 않으면서 실익을 챙기려는 중국의 경제 개발 우선주의는 아프리카주의자들에게도 커다란 호응을 얻고 있다.

 

이제 아프리카도 복수 저앙제와 선거 제도 도입 등 정치적 자유화도 이루었지만 당장 먹고 사는 문제가 그들의 걸림돌이고 기술 경험이 부족한 그들에겐 외세의 불간섭과 경제 성장과 인프라 구조 확보 등 실익이 브릭스 국가의 견해와 일맥 상통하면서 '누이 좋고 매부 좋은'밀월 관계가 지속되고 있다.고용없는 성장과 외화 획득을 위해 한국도 이젠 아프리카로 눈을 돌려 그들에겐 불편한 관계가 아닌 진정한 경제 파트너쉽으로써 어깨를 나란히 하는 실익을 챙겨야 하지 않을까 한다.이를 두고 타산지석이라고 하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