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하나의 습관 - 운명을 내 편으로 만드는 결정적 차이
연준혁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습관은 제2의 천성이라고'한다.타성적이고 소극적인 습관보다는 처음엔 몸에 배이지 않아 힘들고 귀찮아 작심삼일이 되는 경우가 많지만 사명감을 갖고 죽을 각오로 좋은 습관을 만들어 간다면 삶의 좋은 이정표가 될것이며 나와 주위와의 균형과 조화로 인해 지금보다는 더 밝고 살맛나는 세상이 되어 주리라 믿는다.

 

좋은 습관은 사리보다는 주위에 영향을 주고 사회에 밝은 빛이 되어줄 요소가 많다고 생각한다.개인의 삶을 기록하고 글쓰기의 힘이 되어 주는 일기를 비롯하여 의지와 열정으로 수많은 책을 탐독하고 비판 정신을 기르고 참된 지성인으로 사회발전의 거름이 되어줄 독서인,지금 당장은 손해를 볼지라도 향후 몇 십년을 내다보고 인내와 통찰력을 견지해 가는 경영인,모든 문제의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는 반구제기(反求諸己)의 겸양 정신,독단적인 일처리보다는 토론과 의견 수렴을 추구해 가고 공감을 얻어내는 자세 등 말은 쉬워도 실천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고 생각하지만 타성적이고 안일한 자세는 마치 고인 물처럼 개인에게 부정적인 측면이 많다고 생각한다.

 

자기 표현과 신정보가 물밀듯이 쏟아져 나오는 현대사회에서는 부단한 자기개발과 합리적인 사고방식과 타인과의 융화와 상생의 정신을 스스로 연마하고 실천해 나가는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하리라 생각된다.거시적인 관점에서 자신에게 불필요한 것은 미련없이 제거하고 굵직굵직한 면을 위주로 가지치기를 하되 사람과의 관계를 돈독히 해나가는 것이 현대사회에서 고립과 소원이 되지 않을거 같다.상대의 마음을 정확하게 읽고 남이 나에게 손을 내밀기 전에 내가 먼저 손을 내밀며 포용해 나가는 자세 역시 좋은 습관이고 자신의 그릇을 크게 하기 위한 초석이 되어 줄 수도 있다.

 

이 세상을 살다간 위인들의 굵고 짧은 말 한마디,겸허한 행동,멸사봉공의 정신 등이 현대 저명인사들의 행동 방침에 견주어 놓은 '단 하나의 습관'은 자신보다는 타인과 사회,국가를 위하는 마음가짐이 앞섰기에 세상은 조금씩 발전해 나왔으며 가치관의 수립과 지혜를 쌓아가는데 커다란 지침이 될거 같다.지금 당장이라도 내게 타성에 젖고 잘못된 습관이 나의 앞길을 가로 막는다면 바로 고쳐 나와 가족,주위와 사회에 일조를 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아야겠다는 마음이 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