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 - 개정판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은행나무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못하는 동물도 보이지 않은 불안의 심리가 얼굴에 쓰여져 있는데 많은 것을 생각하고 고뇌하는 인간에게는 욕망과 탐욕으로 인해 속이 부글부글 끓기도 하고 초조하기도 하며 누군가 나를 뒤쫓아 오는거 마냥 좌불안석이 되기도 하면서 개구멍이라고 숨고 싶을 심정일 것이다.이러한 욕망과 탐욕,죄의식 등으로 인해 생기는 심리적 불안정을 일컫는 불안감은 예나 지금이나 개인과 사회,국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불안 의식과 불안 형태를 띠고 있으리라 생각한다.

 

탈산업화의 시대,신자본주의의 시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들은 개인의 창의력과 소수정예를 향한 분투,치열한 생존의식과 경쟁을 쉴 수없을 정도로 살아가야만 하는 당위성과 절체절명의 위기의식을 갖고 있기에 마음은 썩어가고 불안과 초조,감내하기 힘든 좌절감은 가일층 커져만 간다.그러기에 개인이 갖고 있는 제반 불안요소를 완화하고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도록 사회적 제도와 안전망을 강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 속담에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는 말이 있다.나와 처지가 비슷한 사람이 하루 아침에 나를 앞질러 가는 꼴을 앉아서 보기 힘들다는 뜻일 것이다.사촌이라해도 그냥 앉아서 땅을 샀을리가 없을 것이다.그 나름대로 돈을 빌렸든 벌어 놓은 돈이 있었든 그 사람의 재력과 능력인데 왠지 모르게 한국 사회 풍토와 인식상 주변 사람이 갑자기 출세하고 두각을 나타내면 축하는 못할 망정 주변과 냉랭하게 되고 관계가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이 역시 넓게 보면 지위,즉 사회적 신분 및 입장으로 인해 발생되는 열등의식과 자격지심이 똬리가 깊게 자리잡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한다.

 

사회는 제도와 규율,수용가능한 인원을 놓고 수많은 사람들이 치열한 경쟁을 하게끔 간접 유도를 하게 되고 이러한 범위에 들어갈 수 있도록 물불 안가리고 수단과 방법을 총동원하여 자신과 가족을 위해 혈투(?)를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심리적인 불안감은 자신의 능력의 한계에서 기인하는 것도 있지만 소득과 지위,명예,가문에 의한 것도 커다란 몫을 차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불과 몇 십년 전만 해도 '개천에서 용 난다'고 했다.학습동기,목표,인생관,의지,열정이 한데 어우러져 뚝심으로 파고 든다면 설령 돈이 없다 하더라도 원하는 대학,직업,사회적 지위까지 얻을 수가 있지만 지금은 이러한 의지와 노력,열정만으론 안되는 세상이 되어 버린지 오래다.재력이 뒷받침되어야 하고 부모의 인맥이 튼튼해야 하며 당사자의 스펙과 스토리텔링도 만반의 준비를 해 놓아야 하는 상황에 도래한 것이다.반대로 재력과 인맥이 부실한 경우에는 혹여 사회 낙오자라도 될까봐 아버지,어머니가 서로 맞벌이를 하면서 자식들의 교육과 미래에 전력 투자하고 있는 가련한 한국의 사회 풍토이다.아무튼 그 어느 때보다도 삶의 질이 낮아지고 불투명하고 불안하며 보장이 없는 미래를 향해 달려가는 한국 사회구성원들은 지금보다 정신적으로 나은 행복한 삶이 도래해 보기를 기대해 본다.

 

알랭드 보통은 소설가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인간이 갖고 있는 불안 심리를 원인과 해법으로 학문적인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다.왜 불안할까? 지금보다 더 행복한 미래,삶,인간관계,소득과 명예를 위해 목적과 목표 의식을 갖고 있다.모두가 앞과 뒤,옆을 보는 것보다는 위를 바라보면서 살아가는 수직지향적 성향을 갖고 있고 위는 피라미드 형태를 띠고 있는 사회적 구조와 속성으로 인해 위로 오르지 못하는 사람들은 기대심리만큼 좌절도 크리라 생각한다.존에 의하면 통치자는 머리이고,의회는 심장이며,법원은 허리이고,관리와 판사는 눈,귀,혀이며,재무 담당자들은 배와 내장이고,군대는 손이며,농민과 노동자는 발로 비유하고 있다.사랑결핍,속물근성,기대,능력주의,불확실성으로 인해 불안 심리가 발생하고 그것이 원인이라면 철학과 예술,정치,기독교적 관점,보헤미아인들의 삶의 의식을 통해 불안 심리를 줄여 나가는 것을 제시해 주고 있다.

 

지위와 관련하여 근대의 이상도 자연스럽지도 않고 신이 주신 것처럼 보이지도 않게 된다.18세기 후반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 혁명과 산업 생산,정치 조직의 변화에서 사회적 지위,신분의 변화가 뚜렷해지고 개인들간의 경쟁의식은 서서히 커져만 갔던 것이다.또한 언론 매체에서 부각시키고 있는 물질주의,기업가 정신,능력주의에 대한 열망은 체재의 키를 쥐고 있는 사람들의 이해관계를 반영하고 있으며 다수는 이 체제에 의해 생계를 유지하며 이러한 지위로 인한 이상 때문에 불편과 불안 의식이 사라지지는 않는 점이다.교육 수준이 높아지고 여권신장이 커지고 개인의 목소리가 그 어느때보다도 중요시되고 있는 현대에선 정치적 평등과 사회적,경제적 기회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크기에 체제를 쥐고 있는 소수보다는 그 반대편의 대다수는 계층간 소외의식과 능력의 한계로 인해 불안감과 좌절감을 함께 맛볼 수밖에 없다.

 

사회적 기반이 '능력주의'로 인정 받으면서 경제적 성취는 그럴 만한 '자격'이 있는 사람이 거둔 것으로 이해되고 부를 축적한 사람은 일단 주요한 미덕이 최소한 네 가지를 갖추고 있다고 한다.창의성,용기,지능,체력이며 겸손이나 경건은 이젠 눈길을 끌지 못하는 세상이 되었고 과거 사회에서처럼 '행운'이나 '섭리'나 '신'때문이라고 회자되지는 않는다.나아가 실업자는 전사들의 시대에 육체적으로 허약한 사람들처럼 수치(羞恥)를 느끼게 되며 돈으로 윤리적 가치 및 그 소유자의 미덕의 증표까지로도 여기게 되니 그 반대의 부류는 심한 상실감과 우울증,자살로까지 이어지는 악습의 또 다른 현상까지 빚어지게 된다고 생각한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보면 특권을 누리고 높은 지위에 있으며 쾌락을 누리는 사람들에게도 '죽음'이라는 생물학적 관점을 이해한다면 가장 우울하고 잔인한 교훈을 안겨줄 수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러한 세속적이고 속물적인 것에 익숙하고 삶을 즐기는 부류들은 주유하고,아름답고,유명하고,권세 있는 사람들의 표본이기에 죽음은 선뜻 받아들이기 힘들 것이고 그것이 치명적인 것이 될수가 있다고 본다.

 

사회 구성원들간에 불평등 의식과 부조리가 줄어들고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정권을 쥔자가 아닌 대다수의 일반인의 사회의 주체가 되는 세상)이 도래된다면 불필요한 욕망과 탐욕은 줄어들 것이며 개인이 느끼는 불안 심리,우울증,자살율 등은 최소화되리라 생각한다.불안이 지금보다 나은 삶을 살기 위한 마음 속의 다짐이 되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사회 구성원간의 불신과 부조화,불평등 의식이 크기에 개인부터 국가에 이르는 불안은 정신적으로 부정적이고 소모적인 측면이 강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