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을동과 세 남자 이야기
김을동 지음 / 순정아이북스(태경)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교(당시 국민학교) 3학년 무렵 김두한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영화화했던 적이 있다.당시 사극 임진왜란과 함께 김두한 영화는 인기가 많았고 협객이 내두르는 완력과 칼싸움 등은 어린이들에게 힘과 용기,선망이라는 매력이 충분했다.또한 국사시간에 단골마냥 나오는 청산리 전투의 주역이었던 김좌진 장군의 이야기도 단편적이나마 지금까지도 뇌리에 남아 있다.김좌진 장군의 손녀,국회의원 김을동은 조부,부,아들을 놓고 한 가정사,자부심,그녀의 인생 이야기 등이 담담하게 그려져 있다.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 '뼈대 있는 가문(家紋)'이란 이런 걸까?저자 김을동은 어른들로부터 희미하게 들었던 조부의 얘기,협객으로 국회의원으로 청렴한 세상을 만들려 했던 아버지 얘기,사극 주몽의 주인공 아들의 얘기를 운명의 역사로 삼고 그녀의 삶을 반추하고 있다.

 

김을동에 대한 기억은 억척스럽고 걸걸한 여성의 이미지와 지자체 선거시 종로구에 나와 주민들에게 공약을 내걸고 열심히 활동하던 모습이 떠오른다.그런데 지금은 친박계 국회의원(비례대표제)으로 활동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집안 일엔 도통 신경을 쓰지 않고 밖으로만 뱅뱅 돌아다니며 활동했다던 김두한 아버지에게 미운 정 고운 정이 많이 있는거 같다.아버지가 한국비료공업(삼성계열사)이 사카린 밀수사건을 두고 국회에서 오물투척사건으로 국회의원직을 박탈당하고 삼성은 국가에 기업을 반납하는 사건부터 조부 김좌진장군의 애국심과 넋을 기리기 위해 중국 흑룡강성 혜란시에 한중우의공원을 설립하는데 모든 재산을 그것에 헌납하기도 하며 아들 송일국이 연극과 TV에서 인기를 끌면서 송일국 한류열풍이 불면서 자식에 대한 사랑과 관심,지원이 어느때보다도 크다.또한 며느리,사위도 잘 봐서인지 자부심과 기쁨이 크며 국회활동 또한 문공부 위원으로 '할 말은 한다'는 정신으로 그녀의 삶의 뜨거운 고백을 담담하면서도 솔직하게 털어 놓고 있다.다만 몇 몇 분에 의해 김을동과 김좌진,김두한이 혈연 관계가 아니라는 허위 내지 왜곡성 발언을 접하면서 씁쓸하다는 생각도 든다.

 

김을동은 청소년시절 공부보다는 연극에 끼가 있어 어머니에게 학용품을 빙자로 연극을 자주 관람하러 가고 그곳에서 연극에 삶을 뿌리내리겠다는 다짐을 한거 같으며 대학시절엔 여성으로선 드물게 정치외교학과를 나왔다.정치외교학과를 다니며 교내에서 활동한 연설 등이 훗날 정치계의 활동의 밑바탕이 되었다고 한다.TV나 연극에선 주로 서글서글하고 투박하고 걸걸한 이미지이고 주연보다는 티나지 않지만 결코 없어서는 안될 조연의 역할을 오래도록 하고 있는거 같다.조연이었기에 더 많은 것을 얻었다고 자찬하고 그러한 바보 같은 소신과 아버지의 DNA를 이어받아 오늘날 국회의원 김을동이 탄생되지 않았다 싶다.물론 정치 신인 시절엔 주위에서 많은 권고가 있었으며 상당한 고심이 있었다고 하는데 이왕 정치를 할 바엔 깨끗하고 투명하며 성실하게 오로지 국익과 국민을 위한 일을 해주었으면 한다.

 

나라의 독립과 약자를 위해 힘쓰신 할아버지,아버지를 이어 선이 굵은 스타로 우뚝 선 아들을 바라보면서 김을동은 이제 인생의 후반기를 살아가고 있다.현재 남은 국회의원 임기를 잘 마무리 주셨으면 하고 흑룡강성 혜란에 있는 김좌진 장군 기념사업,독도 지킴이 등 국익을 위한 활동이 만개했으면 한다.꼼꼼하고 자상한 성격보다는 마당발마냥 많은 사람들과 교류를 하고 화통한 이미지의 김을동이 국민에게 보다 가깝고 친숙하게 다가오는 배우로 남아 주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