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심장이 말하는 대로 - 실패할 자유, 자유로울 권리를 위해 고분분투하는 청춘 이야기
박근영 지음 / 나무수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규격화된 사회제도와 틀 안에서 살다보면 해야 할 일보다는 해서는 안될 금지사항이 너무 많다.특히 한국사회는 유교적이고 가부장적인 요소와 정신이 너무 많아 아직도 케쥬얼하고 자유스러운 분위기를 갖추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예를 들어 술은 어른한테 배워야 하고 어른 앞에서는 고개를 돌려 조심스럽게 술을 마셔야 하며 가족과 함께 식사할 때엔 최고 어른이 수저를 들기 전에 먼저 숟가락을 집어서는 안된다 등등 정신적으로 규제를 하는 것이 참 많다.사회는 말할 나위도 없다.다만 예전보다는 제도와 규율이 나아지고 있지만 오랜 세월 정신적 지주로 내려온 전통예절 작법은 쉽게 무너지지 않을거 같다.

20대 젊은 청춘이라면 사랑과 일,자유,낭만,예술 등 보고 만지고 느끼며 힘차고 자유스럽게 날개를 펼치고 바람이 불어오고 자신이 발닿는 대로 무한정 의지와 열정을 불사르고도 부족한 시기일 것이다.사회 제도권 안에서 안정된 경제생활과 올바른 가정과 자식들 훈육으로 정석을 살아가는 것이 흠은 아니지만 때론 자신의 숨겨진 끼를 발견하고 일탈된 삶을 누려 보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한다.인생은 그리 길지 않기에 하고 싶고 할 수있을 때 마음껏 도전해 보면서 꿈과 희망을 이루어 가는 것이 자신의 참된 정체를 발견할 수가 있고 그 정체성이 하나 둘 모여 거대한 사회 조직을 이끌어 갈 수가 있기에 긍정적이고 진취적이라고 생각한다.

세상살이는 정해진 룰 즉,제도의 틀과 간섭에 얽매지 않고 자신이 하고 싶은 여행,사랑,일을 실패와 좌절을 달게 받으면서 내딛는 삶의 과정은 나름대로 의미와 가치가 있다. 고생과 도전없는 온실 속의 화초와 같은 삶은 쉽게 유혹되고 부러지기 쉬우며 단단한 생활을 할 수가 없다.적당한 공기,바람,물,햇빛을 온몸으로 느끼면서 우주에 단 하나 밖에 없는 자신을 광활한 대지 위에 주체가 되어 즐겁고 풍요로우며 행복한 삶을 위해 피끓는 청춘의 시기를 뚜렷하고 야무진 개성을 찾아 살아가는 것이 먼훗날 후회없는 삶이 될지도 모른다.

다양한 분야,다양한 개성을 갖고 있는 칼럼니스트들이 모여 만든 청춘 이야기는 소소한 일상 속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과 창의력,이웃에 대한 따뜻한 배려와 겸양지덕,진정으로 함께 살아가는 것 등이 무엇인지를 새록새록 알려주고 있기에 가슴에 와닿는 내용들이 많다.특히 '슬픔도 고이면 단단해진다'는 말이 인상적이다.아버지를 잃고 편모 슬하에서 자란 시인의 청소년기는 밝고 힘찬 미래보다는 당장 먹고 살기 위한 생계의 몸부림이고 학교를 다 마치지 못한 배움에 대한 한(恨)이 시로 모든 것을 표출하고 향학의 꿈을 결국 이루어가는 도정이 감동스럽게 다가온다.모든 것을 다 지원해 주고도 여유가 넘치는 가정의 자식들은 부족한 것을 모르기에 슬픔과 좌절,갈망,응어리들과는 거리가 있을 것이다.

흔히 한국은 사(士)자 직업을 선호하지만 그 범주에 들어간다 해도 모두가 성공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그 직업세계도 인간과 인간이 먹이 사슬로 경쟁이 심하다 보니 소수만 살아 남고 다수는 만족하지 못하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그에 비하면 자신의 창의력과 개성을 살려 제도권과 틀을 벗어나 진정한 자유인으로 떳떳하고 당당한 1인 사업가 내지 프리랜서로 살아갈 수만 있다면 비록 청춘은 실패를 두려워할 필요도 없고 '보기 좋은 떡'이 반드시 맛까지 좋지는 않다는 것을 느낄 것이다.하나 밖에 없는 자신의 고유한 색깔과 삶을 주체적으로 고통을 삶의 원형으로 삼아 진취적으로 살아간다면 사회 구성원들의 색깔과 개성들이 오색찬란하게 빛이 나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