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의 본심 - 승진, 해고, 보너스의 은밀한 함수관계를 결정짓는
윤용인 지음 / 알키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사회인으로서 회사원,공무원,프리랜서등 자신이 몸담고 있는 소속기업 및 단체의 부서장,사장님의 속마음을 가늠해 보는 좋은 시간이 되었다.속칭 '땅 파서 장사'하지 않는 이상 직원과 오너는 늘 고용주와 피고용인의 관계에서 보이지 않는 갈등과 고민이 많을 것이다.사장의 입장에서는 직원들이 생각하지 못하고 남의 일로 생각해 버리는 고민과 고충이 많이 서려 있음을 저자의 경험담은 인간적이고도 가슴 뭉클한 면이 많아 공감이 충분히 간다.

직원은 월급날과 보너스를 기다리며 잠깐의 달콤한 시간을 설레임으로 기다리고 사장은 각종 세금과 관리비등 지출 항목과 들어 오는 수입 항목들을 따지면서 직원 급여일에 맞춰 급여를 챙겨주지만 혹간 자금 수급이 제 날짜에 어긋나게 되면 급여는 며칠씩 연체가 되기도 할 것이다.급여만 바라보고 생계를 꾸려가는 대부분의 직장인들에겐 급여일에 맞춰 급여를 받지 못하면 일부 직원들 중에는 사장에 대한 능력 불신과 함께 남몰래 갈 길을 찾으려 할 것이다.몇 달 아니 지불능력이 없어 보인다면 현실적으로 다른 직장을 알아보는 것이 현명하리라고 생각한다.다만 며칠을 못참고 끙끙거리고 얼굴에 표시를 한다면 그보다 더 큰 일을 어떻게 해 나갈 수 있을지 의문이 가는 사람일 것이다.

사장의 입장에서는 회사를 운영하고 살리기 위해 보이지 않는 고민과 해결책을 찾으려 분주하게 움직일 것이다.그런데 늘 출근시간을 지키지 않으며 퇴근시간이 가까워오면 5분 대기조마냥 퇴근 준비를 하는 직원도 많을 것이고 사장,회사 탓을 늘어 놓으며 험담을 하는 직원은 당연지사 윗사람에게 미운 털이 박힐 것이다.'발 없는 말이 멀리 간다'고 했듯이 동료든 상사든 겉으론 내 말에 동정하고 위로를 해주지만 사회는 이해관계로 맺어졌기에 인사고과,승진,보너스 차등적용등은 평소 직원이 회사에 어떻게 일을 하고 생산성을 남겼는지가 관건이 될것이기에 사규에 맞게 성실하면서도 창의적으로 묵묵히 일하는 직원이 사장에게는 든든한 후원자가 될 것이고 좋은 평가를 받으리라 생각한다.

나도 사회초년병 시절엔 월급날만 기다리고 주어진 일만 생각없이 했던거 같다.시간이 흐르고 어느 정도 사장이라는 자리를 이해하게 되고 보니 회사는 한 사람의 힘으로 되는 것이 아닌 사장이하 전직원이 수평적인 관계 속에서 개인의 능력과 창의력을 제대로 발휘하면서 회사 대표는 경기의 흐름과 미래지향적인 설계를 늘 머리속에 그려가면서 기회가 왔을때 최적의 직원에게 신규사업을 맡기고 지원해 주는 풍토와 금융권과도 원활한 관계를 맺음으로써 어려울 때 자금지원을 적시에 받을 준비를 늘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미국발 금융위기가 한국을 강타한지도 어언 3년이 흘렀건만 아직까지는 경제의 활성화는 미미한 수준이다.어려운 시기일수록 사장은 권위 의식보다는 직원의 고충과 고민이 무엇인지를 경청해 주고 직원은 사장의 마인드와 사업 계획등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솔선수범하면서도 열심히 일하고 모나지 않은 사원상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사장은 직원 개개인의 성격이 제각각이기에 직원 하나 하나에 맞춰 나갈 수 없는 상황이고 직원도 일을 하다 보면 자신에게 맞지 않을 수가 있고 서로 맞지 않는 상하관계의 균열로 다니기 싫은 회사가 될 수도 있다.이를 중간에서 잘 조정해 주는 사람도 필요할 것이다.특히 남녀 직원간의 트러블이 생기고 후유증이 오래갈 경우에는 사내 분위기의 반전과 개선을 위해 부서장 이상 책임과 권한이 있는 분들은 갈등의 불씨가 살아나지 않도록 문제있는 직원들을 잘 관찰하고 면담하여 문제점을 극복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장은 1명이고 그 이하는 모두가 직원일터인데 사장 1명을 갖고 뒤에서 뒷담이나 하고 깎아 내리는 발언은 자신에게 결국 불똥이 돌아올 것이다.사장도 인간이고 힘겹게 회사를 꾸려 나가고 열심히 일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면 처음 입사지원을 할때의 초심으로 돌아가 무에서 유를 창조한다는 의지와 열정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지금 사회 경기가 좋지 않다.더 좋은 날을 기약하면서 고민이나 고충이 있을 때에는 사장과 독대라도 하여 솔직한 자신의 심경과 개선책을 제시해 보는 적극적인 자세도 좋은 방법이 되리라 생각한다.부정적이고 매너리즘보다는 참신한 아이디어와 긍정적인 마인드가 중요한 시기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