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 아래
야쿠마루 가쿠 지음, 양수현 옮김 / 북홀릭(bookholic)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천진난만하게 자라나고 가족의 귀여움을 독차지하고 있는 고사리같은 어린 아이들이 유괴 및 성폭행으로 살해를 당하면서 남아 있는 가족과 사회의 불안과 공포감은 한국뿐만이 아닌 전세계적인 관심의 표적이 되고 있다.또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만 범죄를 저지르고 성폭행을 일삼는 자들은 그들의 뇌 구조가 과연 어떠한지도 심리학적인 면에서 궁금하기만할 따름이다.

제목이 말해주듯 '어둠'에서 풍겨져 오는 으시시한 공포감 및 전율감은 범인을 찾기 위해 탐문 조사를 하고 추적하고 있는 수사본부 형사반원들 및 살인하는 과정을 담은 동영상물에서 한층 수위가 높아지며 죽는 자는 말이 없고 죽이는 자는 유유히 증거 한 점 남기지 않고 사라지는 치안 부재 및 수사의 한계마저 나오게 되며 주인고 나가세의 등장으로 수사에 대한 기대와 그의 추적과 탐문 과정 및 발언등에서 미묘한 신경전과 함께 사건사고의 전말은 미궁으로 빠졌다가 활기를 띠었다가 엎치락 뒤치락하기를 반복하면서 긴박감과 스릴감,인간의 원죄의식등을 함께 느껴보는 시간이 되었다.

일본의 유괴사건 및 사체 유기등을 접할 때마다 늘 소름이 돋는다.그만큼 잔인하고도 죽이는 것을 즐기는 자들의 악랄함과 뻔뻔스러움을 알기 때문이며 그들은 자신의 변명거리를 주구장창 늘어 놓으며 범행당시의 정상참작이라는 말도 안되는 구실로 죽어야 마땅한데 몇 십년 콩밥 먹다 다시 출소하고 또 다시 어린이들을 타겟삼아 살인행각을 하면서 인생 전반을 사회의 소외층으로 전락하고 인간이기를 거부하는 자들이 많다는 것을 새삼 알게 된다.

나가세의 여동생 '에미'가 유괴범에게 납치되어 처참하게 죽으면서 자신은 사회의 정의와 범죄자를 소탕하는 형사의 길로 우연찮게 발을 들여 놓게 되는데 그는 후지사와라는 고참 형사의 기대를 안고 형사반에서 살인 사건을 조사하면서 유괴범들이 하나 둘씩 잔인하게 욕조 및 호텔에서 죽어가고 그들의 죽음을 당하는 동영상물이 생생하게 전해지면서 수사대원들을 아연실색케 하며 이는 사회안전망이 허술하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나가세는 마음 속으로 자신도 상송이 되겠다는 마음을 품으며 동료 및 상사들에게 눈총을 먹게 되면서 나가세 자신이 과연 형사로서의 자질이 있는지를 자문자답한다.

나이토,키무라,이토라는 유괴범들이 '등불의 마을'에서 거의 같은 시기에 형을 살았음을 나카무라 수사대원들의 탐문에 의해 밝혀지게 되지만 정작 나가세의 동생(에미)를 죽인 범인은 나타나지를 않고 나가세 앞으로 보내져 온 문자 및 전화가 걸려오는데 자칭 '상송'이라고 밝히면서 나가세는 과연 그를 만나야 할지 말지를 두고 고민하지만 결국 만일의 사태를 대비하여 권총을 들고 남자가 묵고 있는 곳에 당도하며 그를 만나게 되는데 그는 나가세의 동생 에미를 죽인 코사카라는 유괴범이었음이 밝혀지게 되고 나가세는 코사카를 동생의 원혼을 갚는 차원에서 죽이게 되고 나가세는 형사직을 그만 두면서 사법과 정의라는 사회의 규범의 틀에서 벗어나고 나머지 판결은 독자들의 몫이 아닐까 한다.

사람을 죽이는 행위는 정당화될 수는 없다.하물며 연약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흉악범은 사회안전망 차원에서 일반인과 격리시켜야만 한다고 생각한다.그들의 본바탕이 어찌되었든 타인의 생명을 앗아간 행위로 말미암아 유족은 생을 마감할 때까지 응어리와 심적 고통,삶의 무의미등으로 힘겹게 살아가야 하기 때문이다.이 글에서처럼 유괴범들을 찾아내 그들을 죽이는 행위 역시 살인의 악순환일 뿐이므로 입법과 사법차원에서 무엇이 가장 옳은 길인지를 저울에 올려 놓고 심사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