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컨 차를 타는 변호사 -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3-21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3
마이클 코넬리 지음, 조영학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법정물을 다룬 이야기는 많이 접해 보지 못해서인지 두툼한 이 도서를 접하면서 소송 의뢰인,변호사,검사,판사,형사들의 입장과 역할 분담,승소와 패소에 따른 이해관계등이 첨예하게 대립각을 이루며 흥미와 재미,스릴과 함께 과연 주인공 할러는 링컨 차를 타면서 '민중의 지팡이'라는 세간의 인식이 어떠한 방향으로 흘러갈지 기대를 가지고 사건의 단초,전개,결말등에 관심을 갖으며 읽어 내려 갔다.흔히들 형사와 검사,변호사와 소송 의뢰인 그리고 최고점에 있는 판사와의 균형과 조화가 공평무사하고도 한 점의 의혹도 없는 사건 수사와 판결이 일사분란하게 이루어진다고 믿기에는 구린내가 많이 남을 충분히 감지했다.

재판이란 새총과도 같다고 하는데 고무줄을 최대한 뒤쪽으로 당겨 놓는 과정이고 일단 재판에 들어서면 고무줄을 놓아야 하고 날아간 돌멩이가 정확히 타킷을 맞추어야 하는데 변호사 할러는 루이스와 지저스 두 사건을 놓고 형사,검사,판사,의뢰인의 중간쯤에서 얼마나 성실하고 정직하며 의뢰인의 억울함과 누명을 최소화하는데에 중점을 두는지에 대해선 할러는 민중의 지팡이라기 보다는 '돈 벌레'라는 이미지가 강하게 다가온다.예를 들어 루이스가 사창가 여인을 폭행하고 강간,살인을 하게 되면서 피해자와 가해자의 의견을 채집하고 현장 검증까지 하지만 제대로 된 변호를 못하고 검사,판사,배심원의 의견과 판결에 힘없이 따라가는 형국으로 일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는 변호사라는 직업과 직분을 단지 생계수단쯤으로 생각하는 할러의 속물근성이 잘 나타나 있다고 본다.루이스는 피해자의 진술대로 한다면 감옥행이어야 하는데 검찰과 루이스간에 합의가 이루어지고 그는 재심도 포기한채 싱겁고 달갑지(돈이 안된다는 뜻) 않은 법정 승리로 끝나고 만다.

법정 스릴러물을 처음 접하면서 많은 것을 얻었다.인간이 죄를 지으면 그에 대한 법에 의해 엄정한 판결을 받아야 하는데 어찌된 판인지 할러라는 변호사는 의뢰인 하나 제대로 변호도 못하고 돈만 밝히는 것인지 씁쓸한 생각이 들었다.현대 사회가 인간의 존엄성과 도덕과 윤리라는 정의사회와는 거리가 멀게만 느껴지고 바로 눈 앞에 놓인 먹잇감에만 온통 정신을 쏟고 있다는 것과 사건과 사고,이를 처리하고 심사하며 결과를 내놓는 법정 관계자들의 내면의 모습과 심리전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음도 백미로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