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천국, 쿠바를 가다 - 세계적 의료모범국 쿠바 현지 리포트
요시다 타로 지음, 위정훈 옮김 / 파피에(딱정벌레)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쿠바가 의료천국이라는 말을 들었을때 경제수준과 사회주의 국가라는 선입견로 인해 수긍하기가 힘들었다.과연 무엇을 어떻게 사회적인 정책을 실천적으로 해왔기에 전세계가 부러워하는 복지의료 사회를 건설할 수 있었는지 무척이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1959년 카스트로에 의해 쿠바는 사회주의 국가가 수립되었으며 그들만의 의료정책을 펼치고 국민들에게 거둬들이는 세금을 줄이고 국방비를 감액하는등 가난하고 병들어 병원에 못가는 약자들을 위해 의료시설과 약재등을 개발하고 쿠바식 복지의료제도를 행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또한 쿠바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사회주의 혁명가 체 게바라의 약자들을 위한 인도주의적 복지의료 개혁이 크게 뒷받침 되었다고 생각한다.

현재 한국은 민간주도형 의료정책 즉 미국식 의료정책을 시행하다 보니 의료수가도 나날이 급등하고 환자와 의사간의 불신,의료 보험이 적용 안되는 것들도 부지기수이다보니 말 그대로 경제활동이 불가하고 수입이 없는 저소득계층은 큰 병이라도 날라치면 마른 하늘에 날벼락을 맞은 꼴이 될지도 모른다.그만큼 병원 문턱이 너무나 높고 고액에 해당하는 병들은 돈이 없어 병원 꿈도 꿀 수 없는 채 꼼짝없이 삶과 죽음의 경계선에서 신음해야 하는 것이 현실일 것이다.이와 대조적으로 쿠바는 모든 병에 대해 국가에서 전액 무료로 치료해 주고 학생들의 학자금 또한 전액 무료라고 하니 지상의 천국이 바로 쿠바라는 생각이 든다.물론 쿠바라는 나라의 사회 체제 및 시스템이 한국과는 판이하게 다르지만 카스트로가 국민을 위한 교육과 의료 정책만큼은 세계가 부러워할 정도로 각본을 잘 짜고 밑에서는 일사분란하게 실행해 왔다고 생각한다.또한 살아서는 부자와 빈자의 차이는 있지만 똑같이 진료받고 치료받으며 죽음을 맞이하는등 지극히 인간을 생각하는 카스트로의 발상과 실천적인 정책이 오늘의 의료 천국을 낳지 않았나 생각한다.

쿠바는 로마이에 의해 천연두 백신을 도입하고 1923년엔 세계 최초로 천연두를 근절한 나라가 되었음을 알게 되었고 카스트로에 의해 쿠바 혁명이 일어났을때 농촌 의료를 시작으로 패밀리 닥터운동에 이르기까지 환자와 의사가 1:1로 접촉하면서 의사는 환자를 자상하게 대하고 환자는 의사를 친밀감으로 다가감으로써 서로간에 신뢰가 형성이 되었으며 국가는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해 주는등 삼위일체가 공고했던거 같다.나아가 쿠바는 국경없는 의사단의 활약상을 보여주고 있는데 파키스탄등 전쟁과 내전에서 부상당한 사람들을 찾아가 치료해 주면서 쿠바의 이미지를 높이고 있으며 헬스 투어리즘이 불어 외국에서도 안과 치료등을 위해 쿠바를 찾는 환자도 증가하고 있음도 눈에 띈다.

나아가 대체의료와 전자정보 네트워크에 힘입어 침뜸,허브,자연식,기공,요가등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는 쿠바 건국의 아버지 호세 마르티가 말한 ’최고의 의료는 예방이다’라는 말에서 인간이 자연의 일부이고 식물도 자연의 구성요소 가운데 하나이기에 식물을 이용한 대증요법이 성행하고 치료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쿠바 헌법 9조에는 복지의료의 권리가 명확하게 위치지어지고 ’치료를 받지 못하는 환자는 없어야 한다’고 국가가 의료를 보장할 것을 의무시하고 있는 만큼 국가는 국민이 의료혜택을 받고 건강이 확보될 권리를 갖으며 예방의료에 토대를 둔 복지의료정책에 무게를 두고 있음을 알게 된다.

쿠바는 누구나 자신의 능력이나 노동에 걸맞는 급료를 받는다는 ’평등사회’를 내걸고 경제위기라는 곤경을 모두가 고생을 나누면서 헤쳐나갈 수 있었으며 이는 복지의료 사회를 통해 풍요로운 사회적 자본이 쿠바를 위기에서 구했다고 생각한다.미국으로부터 경제봉쇄와 제재조치가 잇다르고 있지만 근접국들과의 원활한 교류와 쿠바인들의 사회에 대한 불평등 요소가 적은 만큼 그들은 마음 놓고 경제 활동을 하고 쿠바 사회 전체에 깔려 있는 사회 복지정책이 쿠바를 살만한 나라로 만들지 않았나 생각하며 한국은 빈익빈 부익부가 날로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쿠바의 복지의료 정책을 반면교사로 삼을 것을 갈구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