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프 1
캐서린 스토켓 지음, 정연희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종과 민족
차별은 역사 속에서 증명했고 지금도 눈에 보이고 보이지도 않을듯 하지만 지식인과 날카로운 지성을 갖춘 리포터에 의해 고발되기도 하고 헬프와 같은
도서를 통해 편견과 차별 속에 억울한 삶을 뛰쳐 나가고픈 지극히 인간으로서 살고 싶은 마음과 울림이 이 도서에는 가득차 있다.조물주가 만든
똑같은 인간이지만 신체에 덧씌워진 색깔이라는 차이 하나만으로 차별과 편견을 받으며 사회제도의 틀에 진입할 수도 없으며 그로 인하여 겪는 고통과
불행을 뒤를 살아가는 후세대들에겐 보여주고 싶지 않아 이 글에 실린 세 여성은 비록 유색인이지만 목불인견의 꼴을 세상에 알리려 하고 작가
스코킷은 백인이지만 현대 미국사회에 만연되어 있고 핍박을 받고 있는 힘없는 유색인의 차별과 억눌림을 용기와 믿음,정의라는 명제하에 실상을 알리고
있다.

이 글은 작가를 지망하는 주인공 스키터와 50대 초반의 가정부 아이빌린,가정부로 일하다 도둑으로 몰려 쫓겨나 기구한 운명을
걷고 있는 미니라는 세 여성이 싹수 없이 구는 백성 젊은 주인들의 행태를 고발하여 사회적인 이슈로 내걸고 있으며 또한 1960년대 미국 사회에
유색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인종차별이 횡행했던 시절을 다룸으로써 역사 속의 인종 차별 문제와 유색인 가정부들이 주인들로부터 겪는 차별과 편견이 눈에
환하게 그려져 온다.

유색인들이 겪는 실상을 하나 하나 찾아 다니면서 인터뷰를 하고 기록을 하면서 책으로 내보겠다는 야심찬
스키터는 어릴 적 자신을 친모처럼 대하고 자상하고도 애정어린 시선으로 키워준 마음의 어머니 콘스탄틴을 그리워하고 찾아 나서면서 그녀의 마음은
더욱 백인들의 잘못된 민족성과 그들에 대한 차별을 은밀하고도 치밀하게 그려 나가려 하는데 아이빌린과 미니가 들려 주는 실상도 자못
크다.1960년대 당시 유색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의 대표적 예로 버밍햄 시위,마틴 루서 킹,유색인 아이들을 공격한 개들의 이야기부터 주인집
침대에 묻고 붙어 있는 머리카락,상처 딱지,코딱지,성교의 흔적,핏자국등을 가정부라는 죄로 참고 지우고 닦고 해야만 하는 것이다.또한 파이 조각을
먹지도 않았는데 먹었다는 누명으로 주인집에서 쫓겨 나야 했던 미니의 억울한 사연과 화장실도 함께 사용을 못하고 집밖에 놓여 있는 변기를
이용해야만 하며 공용시설도 함부로 백인과 사용할 수 없는 당시의 미국 인종차별 정책이 19세기후반부터 거의 100년간 정책적으로 누려져 왔고
백인들은 치외법권마냥 유색인 특히 흑인들을 마음대로 부려먹는등 비인간적인 처사에 스키터,아이빌린,미니는 분연히 일어나 미국사회의 편견과 오만을
꼬집어 내고 이를 책으로 펼쳐 무언의 저항을 글로 나타내려 함을 알게 된다.

미스 리폴트,힐리등은 스키터의 어릴적 친구이지만 이젠
어엿한 주부가 되고 색깔이 다르다 보니 거리감은 더해가고 그들이 가정부에 대하는 말과 행동,편견과 오만은 도를 넘어 사회적인 의분마저 느끼게
하는데 같은 인류라는 것은 껍데기에 불과하고 백인들이 갖고 있는 우월성은 비단 색깔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민족성의 우월과 자존에도 나타나
역사 속에 스러져 가고 희생된 자들은 신으로부터 잘못 물려받은 부모와 환경에 의한 것이 아니었나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