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가 주는 위안
피에르 슐츠 지음, 허봉금 옮김 / 초록나무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늑대과에 속하는
개가 야생의 탈을 벗고 인간과 친밀감과 반려견으로서 다가서고 개가 인간에게 주는 장점과 단점,개의 정신 세계,개의 유래,개를 사람처럼
대하기,개에 동화하기,인간에게 주는 위안등 그냥 무관심과 무심코 지나친 개의 존재와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된거같다.

개인적으로는 반려동물을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지만 어렸을때부터 보고 쓰다듬고 개 밥을 주면서 함께 지냈던 기억도 있고
말은 못하지만 주인을 보면 꼬리를 살랑살랑 흔들고 주인의 지시에 따라 움직이고 복종하는 영리한 동물이라는 기억과 함께 후각과 청각이 발달되어 내
집에 들어 오는 사람 소리,냄새를 통하여 먹을 것을 찾아가는 생존 본능등이 인상에 남고 아무 곳에나 소.대변을 보고 자주 컹컹 짖으며 집안에서
키운다면 특히 한시도 가만 있지 않고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어지럽힌다는 점이 단점으로 다가온다.

주지하다시피 개는 주인에게 충성과
복종을 하는 동물이니만큼 우리 눈에 보이진 않지만 주인을 잃은 개는 늙으면서 봉사가 되고 집의 한 구석에 처박혀 쓸쓸한 나날을
보내던 개는 죽은 주인의 발자국 소리에 자리를 뜨고 후각을 잃어버렸지만 개의 뇌에 저장된 주인의 양말을 기억하고 양말에 머리를 대고 아주 즐겁게
문질렀다는 이야기를 통해
개는 가까운 사람을 잃고 큰 슬픔을 경험했다는 이야기가 전해 오는데 가슴 뭉클한 사연이 아닐 수가
없다.

개와 함께 하면서 개와 일체가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인상적인 부분은 넘쳐나는 생각과 감정,제한되는 생각과
감정,심리적 반사작용,자기 성찰을 막아줌,학습과 혁신이 억제됨,삶의 의미를 부여해 주는 존재,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막아주는등 개의 정신 상태가
인간의 정신 상태에
끼치는 영향은 크다고 본다.

개는 과거와 미래에 대해서는 생각과 감정이 없다.오로지 현재라는
시간 속에서 그를 사랑하고 돌봐주는 주인에게 충성과 복종을 하고 있으며 주인을 잃은 개에서 알 수 있듯 주인과의 교감 작용과 반사적인 행동에서
자신에게 주는 사랑만큼 주인에게 무언의 행동으로 보여주는 영특한 개는 언제 어디서든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고 위로하며 함께 생활하는 반려견으로서
제 역할을 충실히 한다는 점이 가장 커다란 특징이 아닐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