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 사회와 그 적들 - 좋은 시민들이 들려주는 우리 사회 이야기
김두식 외 지음 / 알렙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어느 시대 어느 사회든 대다수의 국민이 불편을 느끼고 살아가기가 버거울때 사회 구성원들간의 불신과 불통,불안이 팽배해 갈 때 어떤 형태로든 이를 밖으로 표출하고 저항하며 새로운 개혁을 모색해 왔던게 역사적인 사실이다.한국은 해방이후 산업개발과 가난을 되물림 하지 않기 위해 자식에 대한 교육 투자를 쏟아 부은 결과 국민소득과 지적 수준은 상당히 높다고 생각을 한다.(표면상으로)

 해방 이후 이승만 정권부터 1987년 6.29 민주화 항쟁까지 독재 타도를 외쳐 왔고 88 올림픽을 계기로 어느 정도 경기 부양이 되었으며 1997년 IME 구제 금융 사태와 2008년 글로벌 경제 위기로 부동산의 거품이 계속 꺼지고 있는 상황이고 2012년이면 새로운 정권이 시작되기에 현재처럼 빈부의 격차가 심화되고 사회 구성원들간에 불신과 불통이 심화되는 형국에서는 지금보다는 더 나은 사회를 만들고 분위기를 일신하며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사회 시스템을 마련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차원에서 이 도서는 읽을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현재 누가 한국 사회를 지배하고 어떠한 통치를 하길래 대다수는 소수의 지배자에 못 살겠다고 아우성을 치는지를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현정권은 일방 통행식 개발 논리와 언론 장악등 표현의 자유마저 짓밟는 양태를 띠고 있어 시대에 맞지 않는 정치를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또한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난 자녀는 아무리 발버둥치고 노력을 해도 기득권층이 만들어 놓은 울타리에 들어 갈 수 없게끔 되어 있는 사회 시스템이 불신의 벽을 깨뜨리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 전체적으로 불신과 불통의 벽이 두텁고 불안의 징후가 산재해 있는데 비정규직이(자영업 포함) 전 세계적인 숫자일 것이다.대학을 졸업해도 몇 년을 백수 생활을 하고 허접한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꾸려 가야 하는 불안한 사회 초년생들과 '사오정'이라는 조기 퇴직으로 갈 곳없는 사회 낙오자로 내몰리는 자들이 많음도 인지하고 있다.권력과 재력을 겸비한 소수자들은 나라가 망해도 몇 대가 끄덕없이 버텨나갈 수가 있겠지만 일반 서민들은 치솟는 물가와 무분별한 세금,비싼 교육비,병원비,노후 문제등으로 앉아서 당할 수밖에 없을거 같다.

 역사와 사회는 늘 새로운 방향으로 발전을 모색해 왔고 개혁을 일구어왔다.2012년에는 새로운 대통령을 선출하는 해이기도 한 만큼 지금보다는 일반인들이 나은 생활 만족과 사회에 대한 불신과 불통이 사라졌으면 한다.복지 정책을 슬로건으로 내세운 박근혜의 민심과 여론 읽기가 대세를 이루고 있고 야권에서는 무료급식,무료의료비등으로 차기 정권 플랜을 짜고 있지만 현재 상황에선 박근혜 대세론이 우위적으로 보여진다.다만 박근혜식의 복지 플랜이 공고화될 것인지 거품으로 끝날 건지는 두고 볼 일이다.야권도 국가와 국민을 위해 사분오열하고 나눠 먹기식의 정치 행태를 보여주지 말기를 바란다.민주당,진보신당등 야권이 믿음직스럽게 손을 맞잡고 한 사람을 밀어 주는(나눠먹기식은 사후에 분란이 꼭 생기니까 안됨) 모습을 보여 준다면 현정권에 치를 떨고 불만이 가득찬 표심이 야권으로 모이지 않을까 한다.

 또한 정치의 정점에 있는 486세대와 사회 초년생들과의 소통의 문제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20대는 486에 대해 상당히 불만이 많은거 같다.그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이 20대가 고민하고 해야 할 일을 486세대의 지도자들이 너그럽게 포용을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사회는 혼자의 힘으론 이끌어 갈 수가 없다.'밀고 당기고'해야 한다.20대가 사회에 진출하여 더 나은 사회를 만들고 가까운 미래에 동량이 되려면 486세대도 그들이 넘지 못할 벽을 함께 깨부술 진정한 용기와 파트너십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한다.20대는 인터넷,소셜네트워크로 인해 성찰과 사유의 힘이 부족하다는 생각을 한다.도정일 개스트가 지적했듯 성찰과 사유의 힘을 기르기 위해 보다 나은 문화의 저력을 보여주기 위해선 인문서적을 탐독하고 토론하며 사색의 장을 넓혀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 한국사회는 불안,불신,불통의 사회로 소수의 기득권(10%)층이 대다수를 지배하고 있다.특히 무전유죄라는 것이 심각한 사회증상이다.일제지배하에서 민족의 자산을 수탈하고 일제에 빌붙어 살아 왔던 세력들이 대대손손 달콤한 물질혜택을 누리고 있으며 그 후손들 고생도 안한 채 주는 대로 받아 먹고 있음을 알 때 가끔은 속이 뒤틀린다.또한 사회는 1등주의와 출세주의등(사(士)자 들어간 직업)으로 꽃다운 십,이십대를 소모전으로 인생을 허비하지 않도록 인본주의적인 사회시스템과 분위기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미국식 신자본주의,선별적 복지 정책을 내세우고 있는 현정권은 누가 뭐라고 하지 않아도 분명 돈이 있고 힘이 있는 일부 세력들을 위한 사회장치이고 제도임에 틀림없다.아무리 발버둥치고 코피 쏟아가며 노력해도 안정적인 사회 생활을 하지 못한다면 그 사회는 희망이 없다고 생각한다.다음 정권의 단초가 복지 정책을 내세우고 있지만 복지 하나만으론 전부가 아닐 수도 있다.1국을 책임지고 대다수의 서민을 포용하며 대외 관계에서도 배짱이 두둑한 지도자가 탄생되기를 진정으로 기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