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하게 사과하라 - 정재승 + 김호, 신경과학에서 경영학까지,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신뢰 커뮤니케이션
김호.정재승 지음 / 어크로스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의 제목이 주는 이미지가 상쾌하고도 뒤끝이 없다는 느낌으로 다가온다.그런 만큼 각박하고도 이기적으로만 되어 가는 세태에 쿨하다기 보다는 칙칙하면서 응큼하기도 하고 뒤에서 어떠한 음모를 꾸미고 있는지를 늘 의심하고 긴장의 끈을 놓지 않는 것이 요즘 나의 생각이다.말 그대로 잘못과 실수,오류를 저질렀다면 보다 나은,보다 발전된 관계를 위해 겸허하게 사과를 하고 용서를 구하며 때론 보다 나은 상생 관계를 도모하기 위해 화해의 제스처를 취해야 함이 마땅하다고 생각한다.인간은 자고이래로 좋은 것은 크게 부풀리고 좋지 않은 점은 쉬쉬 숨기려다 결국은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 꼴’이 됨을 개인,조직,사회,국가간의 관계에서 수도 없이 보고 들어 왔다.

 한국의 경우에는 유교의 영향이 개인 및 사회의 내부에 크게 작용되었듯이 개인의 치부 및 실수,과오에 대해서는 쉽게 털어 놓지를 못한다.갈등 해소와 관계 발전을 위해서 돈 들이지 않고 용서와 사과를 구한다면 아무리 증오와 복수심에 가득찬 사람이라도 사과와 용서의 구함 앞에 마음이 누그러들지 않겠는가? 특히 조직 및 사회를 이끌어 가는 리더들은 개인의 잘못도 그렇겠지만 조직원 및 구성원의 과오로 여파가 커진다면 돌이킬 수 없는 치명타가 되고 영업을 하는 장(場)이라면 CEO가 나서든 대리인이 나서든 진실이 담긴 사과문을 발표해야 할 것이며 책임감과 재발 방지책이 담기지 않은 인사성 사과는 사태만 더욱 악화시킬 뿐이고 최악의 경우에는 법정 소송으로 이어질 것이며 정신적,물질적 손해가 막중하리라 생각한다.

 또한 사과 및 용서를 구할 때에는 타이밍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적시에 사과를 못하고 주위의 반응 및 동태를 살피다가 때늦은 사과는 상대방에게 조소거리가 되고 당사자의 인격마저 의심을 사게 될 수가 있으니 실수와 과오를 범했을 경우에는 최대한 빨리 상대방에게 또는 여러 사람 앞에서 자신의 잘못을 두루뭉실한 표현이 아닌 6하 원칙에 의해 당사자가 최대한 수용을 할 수 있게끔 진실이 담긴 사과 표현을 해야 하리라 생각한다.그렇게 할수록 ’상처 후에 새 살이 돋아나듯’인간,사회 관계는 몰라보게 좋아지리라 믿는다.요즘엔 소셜 네트워크가 발달되어 유튜브나 동영상으로 진실(책임과 사후 보상등 포함)이 담긴 사과문을 발표함으로써 피해자들은 가해자측에 대해 품고 있었던 응어리가 풀리고 돌아서려던 마음이 다시 찾아 오게 되리라 생각한다.

 우리는 역사를 통해서도 국가간 취해 왔던 사과가 진심이 담겼는지 아니었는지는 독일과 일본을 통해서(선명한 대조) 사과의 의미를 알 수 있었다. 독일은 독일통일과 러시아로부터의 방어 전략의 일환이었겠지만 히틀러에 의해 자행된 유태인 학살의 책임을 물어 브란트 총리의 겸허한 자세의 사과와 물적 보상은 독일의 위상을 한층 제고하였다고 생각하며 이웃 일본의 경우에는 수상이 바뀌고 심심하면 총리가 문구를 바꾸어 가면서 의례성 사과로 일관해 왔음을 알게 되는데,일본의 총리가 피해를 입은 인접국에 사과와 동시에 용서를 구하며 책임과 보상까지 하게 된다면 그들의 우익 단체 및 원폭으로 피해를 입은 일본인들의 반발이 거세질 것을 우려하기 때문이라고 한다.게다가 2차세계대전에 강제 징용된 조선의 청년 및 위안부들에 대한 전후 연금보상액이 현재 한국돈 1,250원이라고 하니 참으로 어이가 없는 일이고 피해국을 우습게 보는 처사가 아닐 수가 없다.

 사과는 여러 형식이 있겠지만 개인간에는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뒤에 자신의 과오를 진심을 담아 털어 놓는 것이 좋을거 같고,대외적인 경우에는 공개 사과를 하되 인사성 멘트는 오히려 꺼져 가는 불씨를 다시 키울 뿐이기에 진심,타이밍,6하 원칙등을 지켜 지혜롭고도 현명한 사과,용서를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뻔하고 궁색하며 관습적인 책임 인정,형식적인 향후 대책과 무성의한 약속은 발등의 불을 끌 수는 있지만 궁극적인 사과는 아닐 것이다.적자 생존만이 살아 남는 세상에서 쿨한 사과 및 용서의 구함은 개인간의 관계 증진 및 국가간의 실익을 도모하는 데에도 유익하리라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