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성과 젠더 자음과모음 하이브리드 총서 3
권김현영 외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1년 2월
평점 :
절판




 섹스가 생물학적 남녀간의 관계라면 젠더는 사회적인 인식의 성인식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남성,남성성과 젠더라는 의미를 남성학의 전문가 6인이 담론으로 나타낸 이 도서를 읽어 가다 보니 불편한 구석도 있고 이해는 가지만 아직까지 사회적으로 드러내 놓은 문제가 아닌 묘한 구석도 발견하게 되었다.어느 사회나 여자같은 남자,남자같은 여자가 존재했고 같은 성끼리 연애하고 결혼까지 하는 소수자적 삶을 살아가고 있는 이들도 있다.몸은 남자이고 여자이지만 생리적,기질적,환경적인 영향하에 남성은 남성으로서의 기질이 부족하고 몸은 여자이지만 여성적인 기질이 부족하여 그들을 때론 중성이니 하여 집단,조직안에서 묘한 차별과 거리감을 두고 있음을 알고 있다.

 힘과 권력,사회적 지배층으로 오랜 세월 누려온 남성성이 여권 신장과 더불어 사회 각계에서 여성의 발언권과 참여도가 현저하게 눈에 띄고 있으며 (말을 안해도) 이에 남성은 예전의 힘과 권력적인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약소화 되어가는 경향이 농후하다.이는 시대가 탈산업화의 측면에서 서비스업이 강조되다 보니 기질적으로 섬세하고 친절하게 다가가는 업무의 특성과 고객 제일주의도 한몫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일례로 백년대계를 제일로 삼고 있는 교육계마저 여성(여교사)들이 차지하고 있어 아버지의 역할을 대신해 줄 남자 교사,어머니의 역할을 대신해 줄 여자 교사가 고르게 포진해야 장차 아이들이 사회생활을 하고 자식을 기르면서 가지와 줄기를 제대로 알고 그에 걸맞는 성역할을 해나갈 수 있지 않을까 한다.논란이 일수도 있지만 여자교사라고 해서 지도력 및 사회성이 없다는 뜻은 아니지만 보다 강직한 통솔력과 대세를 이끌 수 있는 것은 여성의 힘보다는 남성의 힘에 의함이 더욱 든든하게 보여지고 역사이래로 남성들이 이끌어 온 지도력과 권력,사회적인 조화와 균형은(큰 줄기의 차원에서) 이를 증명하고 있으니 말이다.

 남성이지만 남성으로 살아가기가 불편하고 사회적인 갭과 차별 대우를 통하여 소외 의식을 느끼며 스스로도 남성으로 살아가는 것보다는 성전환을 통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확실하게 보여주는 부류도 있겠지만 드러내 놓지 못하는 부류도 미지수이리라 생각한다.성적 소수자의 권리를 위해 일부 국가에서는 게이들의 연합,연대도 있고 동성끼리 결혼을 하여 인생을 즐기는 자신의 정체성대로 삶을 꾸려 가는 이들도 있다.다만 한국과 같이 드러내 놓고 성적 소수자를 옹호하고 보호하기엔 시기상조이며 인식 또한 거부감과 함께 이단아로 치부하고 있는 실정이다.역사 이래로 명사들의 동성애자들도 많이 있어 왔고 개인의 표현의 자유라는 측면에서 당당하게 커밍아웃을 하는 이들도 있지만 이를 감추고 살아가는 자들은 심리적,정신적인 고통이 더 크지 않을까 싶기도 한다.또한 생리적인 측면에선 여성이지만 여성의 호르몬보다 남성의 호르몬이 많아 남성적인 기질이 많은 여성은 여성의 정체성 보다는 남성쪽에 가까워 남성과 어울리고 사랑하며 살아가기가 힘든 부류도 있을테니 현시대를 살아가는 같은 인간으로서 이를 정치적으론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난감하기도 하고 혁신적인 조치는 없는지 곰곰히 생각해야할 문제인거 같다.

 속칭 호랑이 같은 남자,여우 같은 여자가 많아 궁합이 척척 맞아 잘 살아가면 멋진 세상이 되겠지만 우주의 만물은 꼭 공식과 인식대로만 되어가는 것은 아닌거 같다.껍질은 남자이지만 속은 여성성을 타고 난 사람,후천적인 환경의 영향하에 여성성에 가까워지는 남자도 있을테고 껍질은 여자이지만 투박하고 걸걸한 목소리의 남자같은 여자도 분명 존재한다.이를 사회적으론 성적소수자 내지 게이,레즈비언으로 인식하는 것같다.경제 민주화를 어느 정도 일궈 놓은 한국은 성적 소수자에 대해 정치적으론 어떻게 대처하고 보듬어 갈지 주목할 문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