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워하다 죽으리
이수광 지음 / 창해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사랑도 시대에 따라 다르다는 생각을 많이 해봤다.보고 싶으면 언제든 만날 수가 있는 이 시대와 조선 시대는 엄연히 시대도 시대이지만 주인공들이 처한 상황은 격세지감마저 든다.이 글의 주인공은 조선의 시인이며 객인인 김려와 관기 지연화의 지고지순한 사랑 이야기인데 읽으며 읽을 수록 정감과 애틋함이 묻어옴을 가슴으로 느끼지 않을 수가 없다.또한 작가는 김려가 남긴 <감담 일기>, <사유악부>,<담정총서>를 토대로 시대상과 그들이 처한 상황을 절묘하게 전개하고 있음을 실감케 한다.

 김려는 시를 짓는 선비로서 강이천의 배신으로 부령으로 유배를 가게 되고 그곳에서 배수첩인 관기 연화를 만나 사랑을 나누게 되고 연모의 정이 싹트게 되며 순조가 즉위한 해엔 천주교인들을 대거 탄압하는 신유사옥이 일어나는데 김려 또한 이에 연루되어 진주로 유배되는 불운한 운명을 맞이하게 된다.김려는 연화가 꽃보다도 더 예쁘고 앵두보다도 더 고운 자태에 반하게 되고 연화는 밥과 빨래를 거들어 주면서 남모르게 사랑의 싹을 틔우게 되며,신유사옥의 박해로 진주에서의 유배가 순조의 장인 김조순에 의해 해제가 된다.

 김려는 연화가 그립고 보고 싶어 남도에서 북쪽 끝 부령까지의 삼천리길을 마다하지 않고 그녀를 만나러 가지만 연화는 무인 조상길이 김려를 사랑한다는 시기와 질투에 의해 뼈가 으스러지는 고초를 당하게 되지만 연화 또한 김려에 대한 그리움과 기다림으로 육체적인 고통은 감내하지만 서서히 죽어가는 그의 육신은 한계에 이르고 김려가 부령 땅에 당도하기 전에 희미한 추억과 기억만 영혼에 담은 채 슬프게도 싸늘하게 주검으로 변하게 되며 둘은 재회의 환희를 만끽하지 못하게 되고 만다.한때 연화는 정2품 이광표의 첩으로 한양 생활을 하게 되었지만 당시 양관법에 의해 이광표는 옥고를 치르고 연화는 김려가 성균관 유생으로 있었기에 성균관 근처에 거처를 정해 김려를 만나고 그의 사랑을 받고저 했던 부분도 인상적으로 다가 온다.

 김려와 연화가 좋은 시대를 만나 마음대로 만나고 사랑을 나누며 행복하게 삶의 파트너로서 금슬좋게 살아갈 수만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생각해 본다.또한 주위에 수많은 시선과 질시를 뿌리치고 오직 김려 한 사람에게만 자신의 모든 것을 걸었던 연화의 지고지순한 마음과 열녀와 같은 사모의 정은 읽는 내내 애틋하고도 슬픔을 자아내게 했다.아마 그들은 사후에라도 구천에서라도 상봉하여 못다한 사랑을 나누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