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밥바라기별
황석영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젊었을때 고생은 사서도 한다'는 말이 새삼스레 가슴에 와닿는다.교복,교모,운동화를 신고 학창 시절을 보냈던 청소년 시기도 엊그제 같다.다만 세월이 흘러 그때와 지금은 세대 차이도 나지만 우선 사물을 보는 관점과 부모에 대한 의지도도 많이 달라졌다고 생각한다.물론 태어나고 살아 온 환경이 달라서 일률적으론 단언하기 어렵지만 1960년대의 고교 시절은 추억과 낭만,밖으로 튀어 보고 싶은 모험심과 용기가 한껏 있었던거 같다.공부도 좋지만 인생의 쓴 맛,단 맛을 책에서 배우는 것이 아니고 산과 물을 따라 막노동도 해보고 탁발승처럼 동냥도 해보는등 가장 밑바닥 삶을 겪어보고 세월이 흘러 '이런 때가 있었구나'하고 추억을 되살려 볼 수도 있겠으니 말이다.

 황석영작가의 성장 이야기가 고스란히 담겨 있는 빛바랜 추억 속의 앨범을 뒤적이는 듯했다.1965년 한일협정으로 어수선했던 외교문제와 베트남 참전이라는 국익 차원의 문제가 어우러지고,나는 고교 시절 친구들과 무전 여행을 하기로 마음을 먹고 이곳 저곳을 젊음과 낭만을 무기로 이곳 저곳을 떠돌며 배도 곪아 보기도 하고 우정이라는 것도 쌓아 가기도 하고 노동의 신선함과 그에 따르는 보수,놀고 마시면서 피끓는 청춘을 발산해 보기도 하는등 막연하기도 하고 사회체제에 미숙한 시기를 산과 물,흙,공기,바람 소리,순박한 시골 농부들의 후덕한 인정을 느껴보는 시간이 되었다.

 서울을 거점으로 하여 완행 열차를 타고 가는 무전 여행은 용기와 모험심이 없다면 별 재미도 없고 추억에도 남지 않을거 같다.무임으로 승차하며 당당하게 자리를 차지했던 시간과 검표원의 눈을 속이기 위해 출구를 빠져 나갔다 다시 제자리로 돌아 오는등 그 시절의 풍속을 엿볼 수가 있었으며 참외밭 주인이 오두막에서 자고 가라고 하여 한 여름밤을 별을 세며 잠이 들었던 시절,용돈이 떨어져 막노동을 하면서 외상으로 먹은 밥과 술 값을 월말에 간죠(월급 계산)하고 나니 겨우 차비밖에 남지 않았다는 무계획의 증표등이 '그때가 그래도 좋았다'라는 생각을 그 시절을 살아왔던 초로에 접어든 이들은 희미한 기억과 공감을 갖게 될거 같다.

 나에게도 그러한 시절이 있었다.도회지를 벗어나면 개발이 덜 된 산골 마을의 후덕한 인심과 비포장 도로를 한없이 걸었던 시절이 생각난다.무전 여행은 아니었지만 함께 한 친구와 이런 저런 얘기를 나누며 가다 피곤하면 깨끗한 풀밭에 누워 쉬기도 하고 시원한 냇가에 몸을 담그기도 하며 해가 뉘엿뉘엿 저물어 갈땐 텐트를 치고 눈이 시리도록 빛나는 수많은 별들과 미래에 대한 꿈과 이상,우정과 낭만을 그려 보기도 했었다.고교 자퇴와 베트남 참전에 차출되기까지의 작가의 청소년 시절의 여정이 맑고 순수하고 무모하면서도 낭만이 가득 서린 이야기이기에 읽는 내내 타임 캡슐을 타고 날아간듯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