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픽처
더글라스 케네디 지음, 조동섭 옮김 / 밝은세상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작가의 상상력과 추리력,각색이 이 만큼 뛰어날 수가 있는가,읽는 내내 이야기의 전개 과정이 허구일지라도 이렇게 손에 땀이 배일 정도의 멋진 작품은 근래 보기 드물었다고 보여진다.

 여섯 살때부터 수집해 온 카메라를 갖고 세상을 넓고 세밀하면서도 예술적으로 그려볼 생각이었는데,완고하고도 보수적인 아버지의 성화와 강요에 어쩔 수 없이 변호사의 길로 접어들게 되고 계약 결혼을 하면서 밴의 인생은 거잡을 수 없는 소용돌이로 빠지게 된다.

 아내는 글을 쓰는데 소질이 있지만 전업작가로서의 밥벌이는 안되는거 같고 남편이 변호사이기에 마음적으로 자격지심과 자존심을 잃는거 같으며 어느 날 벤 몰래 이웃집 남자 게리와 사귀는 장면을 밴이 목격하게 되면서 벤은 그를 계획적이며 완전 범죄 형식으로 죽이게 되며 시체를 전기톱을 사용하여 냉동실에 밀봉하여 게리를 완전히 제거하고 자신은 범죄망 안에서 조금도 걸려 들지 않도록 철저하게 일을 꾸민다.

 사람을 죽이고 다른 사람의 이름으로 살아가는게 온당할까,소설이니까 가능할지 모르겠지만 벤은 진정으로 자신의 아내를 어떻게 대했길래 다른 사람과 깊은 관계를 맺을 정도까지 되었을지를 생각하니 '동상이몽'이라는 말이 이럴때 적합한 말이라는 것도 새삼 알게 되었다.

 밴은 게리라는 이름으로 살아 가면서 쫓기는 심정으로 미국의 드넓은 광야를 질주하고 이름 모를 곳에 거처를 정하면서 낯설은 사람들과 좁은 관계를 맺으며 자신의 끼(사진 찍기)를 발휘하게 되고 자신이 남긴 사진은 호평을 받지만 정작 사진을 찍은 밴은 자신의 정체가 탄로날까봐 '좌불안석'하는 입장이고 벤과 함께 일하는 사람의 이름을 빌려 그는 어떻게 보면 기구한 운명의 살얼음판을 살아 간다.

 이제 벤은 앤과 사랑을 나누고 나는 앤디가 되며 잭이라는 아들을 낳았다.전 처와의 사이에서 낳은 애덤과 조시는 아무리 그립고 보고 싶은 존재이지만 케이트와의 맞지 않은 궁합으로 결국 이렇게 살아가야만 하는게 벤의 운명이 아닐까 싶다.

 누구나 자신이 살아 보고 싶은 삶과 일이 있을 것이다.사회적인 지위,부,명예도 중요하지만 자신이 해보고 자신을 몰입시킬 수 있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이 든다.또한 결혼이란 낭만이 아니고 현실이다.몇 십년을 남남으로 살아 왔기에 맞는 부분보다는 맞지 않는 부분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별 수 없다.맞춰 나가고 보듬어 가는 아량과 인애 밖에 없다.벤이라는 사람은 현실에서는 존재할 수 없다고 생각이 들지만 그와 비슷한 인생을 사는 사람은 얼마든지 있지 않을까 생각을 해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