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인 부부의 한국 신혼여행 1904 - 저널리스트 차벨, 러일전쟁과 한국을 기록하다 그들이 본 우리 8
루돌프 차벨 지음, 이상희 옮김 / 살림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04년 구한말시대 러일전쟁의 전초전이 개시될 무렵,독일인 저널리스트 차벨은 러일전쟁의 취재청탁을 받아 신혼여행은 색다르게 시작된다.요즘 신혼여행은 각양각색으로 일반인의 호기심을 자극하게 되는데 차벨이라는 분은 신부와 함께 배를 타고 여러 곳을 경유하면서 달콤한 사랑도 속삭이고,항해 도중 사기꾼 소굴도 만나며 기나긴 여정 끝에 전운이 감도는 홍콩을 경유,일본 요코하마에 닻을 내린다.

 당시 일본은 메이지유신 시대의 한 가운데에서 정한론을 부르짖으며 조선을 호시탐탐 그들의 지배에 넣으려 하고 있고,때는 그들이 동북아에서 주도권을 쥐기 위해 러시아와 일대 격전을 치르려 하고 있던 때라,차벨기자도 어떻게든 조선에 들어가 전황을 살피고 취재해 본국에 알리는 임무를 띠고,조선에 들어가 취재하라는 지시만을 기다리고 있는데 쉽게 명령이 내려지지 않은데다 외국인 취재의 배당등이 일본측에 의해 더디게 진행되어 가고,생각지도 않은 일본인의 생활모습을 체득하면서 그들의 실상을 조금씩 익혀 가는데 일본군이 러시아군을 압록강 이북으로 퇴각시켰다는 소식을 접하면서 일본군에 의해 종군기자들이 부당한 대우를 당하는 일이 벌어졌다는 것을 접하게 된다.

 차벨신혼부부는 우여곡절 끝에 조선 여행을 결정하게 되면서,기나긴 선상에서 풍랑도 만나고 멀미도 생기면서 달콤한 여행이 아닌 악몽같은 여행이 지속되며 드디어 부산항에 도착하면서 산과 언덕에 나무가 전혀 없다는 사실에 놀라며 부산에서의 조선의 면모를 알아가게 된다.우선 조선내륙으로의 기차여행을 통해 조선인의 모습,행동거지,산하의 모습은 하얀 광목 두루마기,치마,갓을 쓴 초로,어린아이를 젖에 물린채 어딘가 다녀오는 여인네의 모습,낙동강을 끼고 달리는 기차의 모습등이 그 시절의 평화로운 구한말시대의 모습인거 같았다.

 그리고 그는 부산과 블라디보스토크의 중간지인 원산항으로 떠나게 되고 그곳에서 몇일을 묵은 뒤,조선인 통역관을 끼고 조랑말을 타고 육로로 걷고 걸으며  조선의 산하,인습,농부들의 모습등을 그림 그리듯이 보여준다.서민 가옥,논베미에서 우연히 찰칵 찍힌 어머니와 딸의 무표정한 모습(아마 모내기무렵),가마로 여행하는 관원들의 모습,흰 띠를 머리에 동여매고 작업하는 주막집의 모습,모심기,서울~원산간 대로,툇마루 앞에서 외국인을 바라보는 구경꾼들,당시 사용되던 화폐,초가로 뒤덮힌 농촌 마을,한강나루의 모습등이 참 인상적으로 다가왔다.그리고 도중에 그날 사용했던 비용명세서까지 보여주는데 차벨이라는 기자는 참으로 꼼꼼하고 세밀하다는 성격의 소유자인거 같다.

 이윽고 서울 주재 독일 변리공사관에 도착해 돌아가는 상황을 살피고,종군기자들이 늘 일본인의 농간에 치욕을 곱씹으며 차벨은 서둘러 제물포항에서 부산으로,부산에서 일본으로 귀항의 원칙을 세우고 본국으로 돌아갈 채비를 하게 된다.비록 차벨기자는 러일전쟁의 와중을 생생하게 취재는 못했지만 도서의 후반부에 실린 개항후의 한국,중국,일본의 외교사를 비롯 청일전쟁,시모노세키(下關)조약에서 러일전쟁,러일전쟁과 한일관계등을 사료로써 보여줌으로써 역사자료로써 가치가 크고 한 외국인에 의해 당시의 한국,일본의 실상을 알게 됨으로써 연대기적 서술식의 사건인식보다는 전반적인 그 당시의 외교,경제,풍물등을 접할 수가 있어 무엇보다 다행이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