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과학사 이야기 1 - 카이스트 신동원 교수님이 들려주는 하늘과 땅의 과학 한국 과학사 이야기 1
신동원 지음, 임익종 그림 / 책과함께어린이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이스트 신동원 교수님의 하늘과 땅의 한국 과학 이야기는 쉽고 재미있으며 마치 1:1과외를 받고 있는 듯한 문체가 퍽 인상적이고 유익한 공부였다.

 흔히 과학은 실험과 관찰,탐구,제작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물이기에 쉽게 다가설 수 없는게 현실인거 같다.우주와 자연,생물과 인간,사물과 기술에 대한 것들이 궁금증을 풀어 주고,거기에서 얻은 지식을 인간이 행복하게 사는 데 유용하게 하려는 목적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한국 과학사의 범위도 크기에 저자는 하늘과 땅으로 나누어 과학사를 정리하고 도표나 삽화를 충분히 섞어서 이해도를 높이는데 주력했으며,심화 학습이 필요한 부분이나 정보는 '비밀노트'라는 팁을 부여하여 지식 정보를 보완했다고 생각이 든다.

 하늘에서는 고인돌과 별과의 관계,첨성대의 퍼즐,우주의 신비를 풀어 내는 천상열차분야지도,장영실을 위시로 측우기,해시계,앙부일구,물시계 자격루의 비밀,최초.최고(最古)의 달력,칠정산,음악과 도량형의 근본은 하나라는 보여 주고 있다.

 에서는 좋은 땅을 찾기 위한 풍수지리설,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에 담긴 외침,김정호의 대동여지도,파발등을 보여 주고 해설해 주고 있다.

 내용은 유익하고 쉽게 적혀 있지만 어린이들이 보기엔 용어의 난해함이 돋보인다.그래서인지 저자는 친절하게도 용어를 한자와 더불어 풀이해주는 친절함도 녹아 있다.

 구체적으로 들어가 보면,한국도 화산이나 지진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절기와 기후를 통해 농부들의 농사짓는 지혜,요령,김석문과 홍대용의 지전설 관련,수학의 역사 중에 산가지를 이용한 구구단 학습법,음계와 수의 비례등을 살펴볼 수 있었다.

 땅에 대한 정보는 삼국시대부터 비롯되었는데,산 사람과 죽은 사람 모두 살기 좋은 땅을 선호한 조상들의 풍수지리사상,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를 일본에 빼앗긴 서글픈 얘기,장한상의 울릉도사적에 보여지는 독도,대동여지도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 비교해 보기,외적의 침입과 위급한 상황 알리기의 봉화대등을 흥미롭게 읽어 갔다.

 개인적으로는 땅에 사는 사람인지라 하늘보다는 땅과 관련하여 눈여겨 보았는데,내가 살아 오면서 가정과 사회를 통한 간접 교육이 컸던 탓이리라.하늘에 관련해서도 흥미롭고 알아야 할 사항이 많기에 편독하지 않고 관심을 더욱 기울여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